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년 613만 명 거주지 옮겼다…고령화로 이동률 51년 만에 최저

작년 613만 명 거주지 옮겼다…고령화로 이동률 51년 만에 최저
지난해 전국에서 약 613만 명이 거주지를 옮겨 이동했습니다.

하지만 이동 인구 규모는 3년째 줄었는데, 고령화 탓에 이동이 활발한 젊은 층이 감소하면서 이동자 수와 이동률이 약 반세기 만에 최저 수준까지 떨어졌습니다.

오늘(3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국내 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읍면동 경계를 넘어 거주지를 옮긴 전국 이동자 수(전입신고 기준)는 1년 전보다 0.4%(2만 3천 명) 612만 9천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이동자 수는 2021년(-6.7%), 2022년(-14.7%)에 이어 3년째 전년 대비 줄고 있습니다.

특히 2022년에는 주택 시장 침체 영향으로 100만 명이 넘게 감소한 바 있습니다.

이동자 수 규모는 1974년 529만 8천 명 이후 49년 만에 최저치로 내려왔습니다.

인구 100명당 이동자 수를 뜻하는 인구이동률은 12.0%로 전년과 유사하지만, 소수점 단위로 줄었습니다.

1972년(11.0%) 이후 51년 만에 가장 작은 수준입니다.

통계청 임영일 인구동향과장은 "저출산과 고령화 영향으로 20대 인구는 계속 줄고 고령 인구가 증가하다 보니 이동자 규모 자체도 감소할 여지가 있다"고 말했습니다.

실제 연령대별로 인구이동률을 살펴보면 20대(22.8%)와 30대(20.1%)에서 높고 60대 이상에서는 7% 이하로 낮았습니다.

전년과 비교해도 60대(-0.4%p), 70대(-0.4%p), 80세 이상(-0.4%p) 순으로 감소했고, 30대(1.2%p), 10세 미만(1.2%p), 40대(0.2%p)에서는 늘었습니다.

관건은 20대입니다.

가장 인구이동률이 높지만 전년보다는 0.3%p 줄었다.

2021년부터 3년째 낮아지고 있습니다.

전입자가 전출자보다 많아 순유입이 발생한 곳은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경기(4만 5천 명), 인천(3만 4천 명), 충남(1만 6천 명) 등 5개 시도입니다.

반대로 서울(-3만 1천 명), 경남(-1만 6천 명), 부산(-1만 1천 명) 등 12개 시도에서는 전출자가 전입자보다 많아 인구가 순유출됐습니다.

서울은 1990년부터 작년까지 34년째 인구가 순유출되고 있습니다.

작년 서울에서 전출한 인구 가운데 60.5%는 경기로 향했는데 서울뿐 아니라 인천·강원·충북·충남·전북도 전출 1순위 지역이 서울이었습니다.

대구와 경북, 부산·울산·경남, 광주와 전남 등은 지리적으로 인접한 시도 간의 전입·전출이 많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