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홍콩증시 또 급락…ELS 손실 이어 국내 상장 ETN 상장폐지

홍콩증시 또 급락…ELS 손실 이어 국내 상장 ETN 상장폐지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홍콩 증시가 오늘(22일) 크게 주저앉으면서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테크 기업 주가를 2배로 추종하는 국내 상장지수증권 ETN이 상장폐지를 맞게 됐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삼성증권이 발행한 '삼성 레버리지 항셍테크 ETN(H)'은 이날 오후 3시 55분부터 매매거래가 정지돼 오는 24일부터 상장폐지 절차가 진행됩니다.

거래소 유가증권시장 상장규정에 따르면 정규시장 종료 시점에서 ETN의 실시간 지표가치(IIV)가 전일 대비 80% 이상 하락하거나 1천 원 미만인 경우 투자자 보호를 위해 조기청산됩니다.

'삼성 레버리지 항셍테크 ETN(H)'은 이날 정규장 종료 시점 실시간 지표가치가 988.05원으로 떨어져 조기청산 사유가 발생했습니다.

본래 만기일은 오는 7월 19일로 예정돼 있었습니다.

이 상품은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테크 기업 30종목으로 구성된 항셍 테크 지수의 일간 수익률을 2배로 추종합니다.

항셍 테크 지수가 오르면 수익도 2배가 되지만, 떨어질 경우 손실도 2배가 됩니다.

이날 홍콩 증시에서 항셍 테크 지수는 전장 대비 3% 넘게 급락했습니다.

홍콩 증시에 상장된 중국 50개 기업 주가로 산출되는 홍콩 H지수(HSCEI)도 3% 넘게 급락해 5,000선을 밑돌아 한국시간 기준 오후 4시께 4,950대에 거래됐습니다.

2022년 10월 31일 기록한 전저점(4,919.030)에 근접한 수준입니다.

홍콩 증시가 큰 폭으로 밀리면서 홍콩H지수를 기초자산으로 삼은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폭도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유안타증권에 따르면 홍콩H지수 연계 ELS가 대거 발행된 2021년 1월 홍콩H지수 평균은 11,339 정도입니다.

ELS는 만기 상환일에 기초자산의 가격을 평가해 수익률을 확정하기 때문에 11,000대를 넘나들던 홍콩H지수가 절반 이상으로 급락하면 투자자는 지수 하락률만큼의 손실을 그대로 가져가게 됩니다.

이날 홍콩 증시 약세는 경기 침체 우려에도 중국 정부가 통화정책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여 투자자들의 실망감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됩니다.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우려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기준금리인 대출우대금리(LPR)를 5개월 연속 동결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