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영상] "대통령의 격분인가, 짜고 치는 고스톱인가"…'김건희 사과 요구'와 '한동훈 사퇴 요구' 논란 속 말말말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은 오늘(22일) "제 임기는 총선 이후까지 이어지는 것으로 안다"며 비대위원장직 수행 의지를 거듭 천명했습니다.

한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 및 당무 개입 여부에 대한 입장을 질문받고 "평가는 제가 하지 않겠다. 그 과정에 대해선 제가 사퇴 요구를 거절했기 때문에 구체적인 내용에 대해 말하기 어렵다"며 이렇게 말했습니다.

전날 이관섭 대통령 비서실장이 한 위원장을 만나 사퇴 요구를 전달했다는 보도가 나온 가운데 한 위원장이 이러한 요구가 사실임을 확인하면서 사퇴 요구를 다시 한번 공개적으로 일축한 겁니다.

더불어민주당은 '대통령실의 한 위원장 사퇴 요구'에 대해 "당무개입이자 정치적 중립의무 위반"이라며 법적대응을 예고했습니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윤석열-한동훈 결별이라는 여권 대혼란을 감수하고라도 한 위원장을 버리고 김건희 여사를 보호하는 무리수를 뒀을 가능성이 첫째"라며 "둘째 차별은 윤석열 부부와 한동훈 위원장의 짜고치는 고스톱 같은 국민 속이기 차별화 전략일 가능성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진짜 한동훈 자르기든 가짜 약속 대련이든 윤석열 아마추어 정권이 공당인 국민의힘 대표인 이준석, 김기현 내쫓기에 이어 한 위원장을 내쫓는다면 대통령실 당무개입, 정치적 중립의무 위반에 대한 법적 책임도 물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는 '대통령실의 사퇴 요구'에 대해 "애초에 기획으로 본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대표는 이날 유튜브 채널 인터뷰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한 위원장을 잘 아는 모 인사가 내게 '이관섭 실장을 보낸 건 약속 대련'이라고 이야기하더라"라며 "윤 대통령이 한 위원장을 속된 말로 혼내거나 싫은 소리 할 일이 있으면 전화하거나 텔레그램을 하면 되는 것이지, 굳이 이 실장을 보내 '너 이렇게 해라, 저렇게 해라' 할 이유가 없다"고 덧붙였습니다.

한편 친윤석열계로 알려진 이용 국민의힘 의원은 '김건희 여사의 명품백 수수 의혹'과 관련해 '사과해서는 안 된다'는 취지의 글을 같은 당 의원들의 단체 SNS방에 올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 의원은 한 유튜브 채널의 내용을 인용하는 방식을 취하면서 "사과를 하든 안 하든 지지율은 올라가지 않으며, 사과를 하는 순간 민주당은 들개들처럼 물어뜯을 것"이라며 "박근혜 대통령도 사과해서 범죄가 기정사실화되고 탄핵까지 당한 것"이라며 "사과와 관용은 정상적인 사람과의 관계에서 하는 건데 좌파들은 정상적인 사람이 아니"라고 주장한 대목도 인용했습니다.

윤 대통령의 멘토로 꼽혔던 신평 변호사는 한동훈 위원장을 향해 "가혹하게 들리겠지만 그는 스스로 비대위원장직에서 물러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습니다.

또 한편 국민의힘 김경율 비상대책위원은 김건희 여사 명품백 논란을 '정치공작'으로 규정하는 것은 "TK(대구·경북)의 시각"이라고 말해 당내 반발이 제기된 것과 관련, "다시 한번 이 자리에서 죄송하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거듭 사과했습니다.

김 비대위원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비대위 회의에서 "얼마 전 제가 우리 당 대구·경북 의원님들에게 분별없는 발언을 했다. (이후) 이 자리에 계신 윤재옥 원내대표님께 한 차례 사과 말씀을 정중히 드렸다"면서 이같이 밝혔습니다.

앞서 김 비대위원은 지난 18일 윤 원내대표가 김 여사 명품백 논란을 '정치 공작'으로 규정한 데 대해 "그게 우리 당내 TK의 시각이다. 그분들 입장에서 빨리 4월 10일이 오기만을 기다리는 분들이다. 본인의 선수가 늘어나기만을 바라는 분들"이라고 언급했고, 윤 원내대표가 이에 대해 "대단히 유감"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다만 김 비대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비대위원장 간 갈등 촉발의 근본적인 원인으로 지목된 자신의 '김 여사에 대한 사과와 해명 요구' 발언과 관련해서는 별도의 언급을 하지 않았습니다.

(영상취재 : 전경배·박현철 / 구성 : 진상명 / 편집 : 김남우 / 제작 : 디지털뉴스제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