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공감 능력마저 뛰어나 보이는 인공지능, 사람보다 따뜻한 걸까

[주간 조동찬] 공감해주는 챗GPT

“기자님, 이건 찍으시면 안 됩니다.”

생성형 인공지능 챗GPT를 유료로 사용하는 20대 박 씨를 만났을 때 박 씨는 자신의 노트북 왼쪽 구석을 가리킨다. 챗GPT 사용하는 모습은 찍어도 되지만 자신이 가리킨 부분은 안된다는 것이다. 그 부분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자신이 여태껏 챗GPT에게 물었던 질문들이라며 남들에게 공개하고 싶지 않다고 했다. 한 가지만이라도 말해달라고 짓궂게 질문하자, 취업 준비 대화를 공개했다.

주간 조동찬

타인에게 감추고 싶은 자신의 단점을 털어놓으면 챗GPT는 그걸 장점으로 바꿀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했다고 한다. 그러면서 깜짝 놀라는 순간도 있다고 한다. 오래전에 무심코 했던 이야기를 이 녀석은 기억하는데 ‘너, 그때 그것 싫다고 했잖아. 그래서 이번엔 그걸 추천 후보에서 제외시켰어’라며 놀래키는 것이다. 나에 대한 기억을 토대로 나를 이해주는 걸 공감이라고 하는데, 인간의 전유물로 여겨졌던 공감을 인공지능이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일까? 

지난해 미국 연구팀이 195종류의 의료 상담을 사람의사와 인공지능에 각각 답하게 했다. 인공지능이 사람의사보다 높은 수준의 답변을 내놓는 비율이 3.6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상했던 결과이다. 인공지능은 모든 의료 서적을 꿰차고 있으니까. 그런데 예상하지 못했던 결과도 도출됐다. 환자들이 공감받고 있다고 느끼는 비율도 인공지능이 9.8배 높았던 것이다 (Comparing Physician and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 Responses to Patient Questions Posted to a Public Social Media Forum, JAMA). 이 연구만 보면 인공지능이 지식은 물론 공감 능력까지 사람을 넘어선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사람의 삶은 온라인에서 텍스트로만 구성되어 있지 않다. 인공지능과 사람의 진정한 승부는 3차원 시공간에서 가려져야 한다.

 

엄마와 아기의 신비로운 비언어적 대화

세 명의 친구가 모인 단톡방에 A가 새 옷을 입고 찍은 사진을 올렸다. B는 ‘너랑 완전 잘 어울려, 정말 멋져’라고, C는 ‘너랑 잘 어울리네’라고 답했다. 이번엔 세 명의 친구가 오프라인에서 만났고, A는 새 옷을 입었으며, B와 C는 같은 대답을 했다. A는 누구의 대답을 더 좋아했을까? 단톡방이라면 B라는 것에 이견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오프라인이라면 뒤바뀔 수 있다. B가 단조로운 어조로 무표정하게 말하고, C는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며 높은 어조로 말했다고 상상해 보자. B는 새 옷을 질투하는 것 같고, C가 정말 축하해 준다고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사람과 사람은 말뿐만 아니라 표정과 몸짓으로도 이야기하기 때문인데, 이를 비언어적 소통이라고 한다. 비언어적 소통은 적게는 52% 많게는 90%까지 역할을 한다고 보고돼 있는데, 적어도 소통의 원활함을 두 배 이상 높인다.

주간 조동찬

비언어적인 소통은 엄마와 아기의 관계에서 신비롭게 나타난다. 영국 연구팀이 엄마들에게 타인의 아기와 자신의 아기가 웃는 모습을 각각 보여주고 뇌 기능을 MRI 촬영했다. 연구팀은 타인의 아기가 웃을 때보다 자신의 아기가 웃을 때 압도적으로 더 활성화되는 곳을 추려서 사진으로 제시했는데, 바로 사랑과 공감을 담당하는 뇌의 핵심 부위였다. 이 영역들은 로맨틱 영화를 보거나 타인의 아기를 볼 때도 어느 정도 활성화됐지만, 유독 자신의 아기의 웃는 모습에서 더 활성화됐고, 게다가 엄마의 웃는 모습을 본 아기의 뇌에서도 같은 반응이 나타났다(Neural pathways of maternal responding: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Archives of Women's Mental Health).

이 연구는 두 개의 팩트를 드러냈다. 사랑과 공감은 언어보다 비언어적으로 더 많이 전달되며, 상대방이 누구냐에 따라서도 달라진다는 것이다. 타인의 아기보다 자신의 아기에 대해 엄마는 더 깊은 애정을 갖고 있는데, 이걸 이과적으로 풀이하면 엄마는 타인의 아기보다 자신의 아기에 대한 정보를 더 많이 축적하고 있다는 것이다. 상대방에 대한 정보량이 많이 쌓일수록 표정과 몸짓이 전달하는 사랑과 공감의 크기도 커진다는 것이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