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년 주식거래 늘었지만 결제 대금은 376조 '제자리'

작년 주식거래 늘었지만 결제 대금은 376조 '제자리'
지난해 국내 주식 거래대금은 크게 늘었지만 결제 대금은 제자리걸음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차전지 등 테마주 열풍 속에 개인투자자 거래 비중이 높아지면서 일부 증권사로 주식 위탁매매가 몰린 데 따른 현상으로 분석됩니다.

12일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해 예탁원을 통한 주식결제대금 총액은 376조 3천억 원(일평균 1조 5천4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0.2%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전체 결제대금 가운데 증권사 간 장내 주식결제대금은 168조 6천억 원으로 전년보다 0.4% 감소했고, 은행·보험사 등 기관투자자와 증권사 간 위탁매매 결제대금은 207조 7천억 원으로 0.7% 증가했습니다.

주식결제대금은 2019년 284조 6천억 원에서 상승장이 펼쳐진 2020년 416조 6천억 원, 2021년 510조 8천억 원으로 늘었다가 2022년 375조 5천억 원으로 줄어든 뒤 지난해 거의 변동이 없었습니다.

이는 지난해 주식 거래대금이 크게 늘어난 것과 대조적입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해 유가증권시장과 코스닥시장의 연간 주식거래대금은 총 5천663조 원으로 전년(4천667조 원)보다 21.3% 증가했습니다.

유가증권시장(코스피)은 3천207조 원으로 8.0% 늘었으나 코스닥시장은 2천456조원으로 44.7% 급증했습니다.

주식결제대금은 당일 주식거래에 따른 전체 대금에서 다자간 차감 방식으로 차감액을 빼고 최종적으로 주고받은 결제액만을 집계하기 때문에 통상 주식거래대금의 5% 미만에 머물게 됩니다.

지난해 주식거래대금이 20% 이상 늘었음에도 결제대금이 줄어든 건 개인투자자 비중이 높아진 결과로 분석됩니다.

거래소 관계자는 "개인투자자 거래 비중 증가로 선호하는 몇몇 증권사로 매수, 매도거래 주문이 집중되면서 주식결제대금 중 차감액 비중이 높아진 결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사진=한국예탁결제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