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외국인 노동자 유입 느는데…울산 외국인센터 '존폐 위기'

<앵커>

희망찬 새해가 밝았지만, 오히려 시름이 더 깊어진 곳이 있습니다. 울산의 이주 노동자들을 지원해 온 한 기관이 올해 정부 지원금이 끊겨 존폐 기로에 놓였습니다.

성기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지난달 19일, 울산 정자항에서 뱃일을 하던 베트남 국적의 30대 남성이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이 남성은 생활고에 영하권 추위에도 난방비조차 아껴가며 생활하다 변을 당했습니다.

이 같은 이주 노동자를 지원하기 위해 설치된 울산외국인센터.

비자 갱신부터 법률 조력과 정착 교육까지, 언어가 서툰 외국인들이 가장 먼저 우리 문화를 배워가는 곳입니다.

지난 2009년 문을 연 이곳 센터는 연간 4천여 명의 경남지역 외국인 노동자들이 다녀갑니다.

울산 유일의 '이주 노동자' 지원 기관으로 인근에서도 이용하는 이 센터는 새해부터 심각한 운영난을 마주했습니다.

고용노동부가 전국 외국인센터 예산 71억 원을 올해 전액 삭감하면서 인건비 지원이 끊겼기 때문입니다.

[이삼성/울산외국인센터장 : (지원금) 보조를 못 받으니까 좀 고민이 많이 생기죠. 많이 생기지만 (이주 노동자들이) 어려운 일이 있으면 기댈 곳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곳이 없어서 밤낮으로 우리 센터에 찾아오니까 없앨 수는 없고….]

전국 40여 곳의 센터 중 인천과 창원 등 정부 위탁기관은 폐쇄됐고, 울산센터도 예산 1억 원 중 구청 지원 3천만 원을 제외하면 기대하기 어렵게 됐습니다.

행정 편의를 돕는 외국인주민지원센터와 달리 외국인 노동자를 전담하는 센터가 재정난으로 문을 닫으면, 이주 노동자들이 불법 브로커 등 음지로 내몰릴 우려도 큽니다.

[이삼성/울산외국인센터장 : (비자 종류에 따라) 사업주의 말을 들어야 체류를 오래 할 수 있고, 비자 변경도 수월해지고 그렇습니다. 그러다 보니 많이 아프더라도 사업주에게 아프다는 소리도 잘 못하는 분들도 많고….]

정부는 인력난을 이유로 올해 역대 최대인 12만 명의 외국인 노동자를 들이기로 했습니다.

조선업 등 제조업이 주력인 울산에서 증가세가 가파르지만, 이들에 대한 지원 대책은 뒷걸음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운석·최학순 UBC)

UBC 성기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