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솔레이마니 암살 보복 차원"…커지는 확전 우려

<앵커>

이란이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공격은 자국 혁명수비대 솔레이마니 사령관 암살에 대한 보복 차원이었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란은 하마스 공격 배후설을 그동안 부인해 왔는데 이를 시인한 것입니다. 확전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표언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지난 10월 7일 육해공을 통한 하마스의 이스라엘 기습으로 전쟁이 시작됐습니다.

이란이 배후라는 분석이 제기됐습니다.

무기는 물론 훈련까지 지원했다는 겁니다.

이란은 그동안 자신들은 무관하다고 부인했습니다.

하지만 지난 26일 이란혁명수비대 무사비 준장이 시리아에서 이스라엘의 공습으로 숨지면서 태도가 변했습니다.

전쟁을 촉발시킨 하마스의 기습 공격은 3년 전 솔레이마니 사령관 암살에 대한 보복차원이었다는 겁니다.

[라메잔 샤리프/이란 혁명수비대 대변인 : (솔레이마니 암살)에 대한 미국과 이스라엘에 대한 우리의 보복이 무엇이냐고 물어본다면 '알아크사 홍수'작전이 그 하나입니다.]

이란 군부 최고 실세였던 솔레이마니는 2020년 이라크 바그다드에서 미국의 무인기 공격으로 숨졌습니다.

무사비는 솔레이마니의 최측근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에도 보복을 기다리라고 위협했습니다.

[레자 탈레이닉/이란 국방부 대변인 : 적절한 기회와 시간, 장소에서 적절한 방법으로 이번 테러 공격에 대한 보복이 이뤄질 것입니다.]

하마스는 이란이 밝힌 기습 공격의 동기를 부인하며 가장 중요한 것은 알 아크사 사원에 가해진 이스라엘의 위협 등 팔레스타인 주민과 성지가 점령당하고 침략당한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동기만 다를 뿐 미국과 이스라엘에 대한 보복은 같은 셈입니다.

이란이 하마스 지원 동기를 자국 장성 암살에 대한 보복임을 분명히 하면서 확전 우려는 갈수록 커지고 있습니다.

(영상편집 : 이승진)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