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계파 갈등에 공천 잡음까지 터진 민주…정세균·김부겸 역할 주목

계파 갈등에 공천 잡음까지 터진 민주…정세균·김부겸 역할 주목
▲  김부겸 전 총리와 이재명 대표

더불어민주당이 갈수록 심화하는 계파 갈등에 공천 잡음까지 본격적으로 터져 나오면서 연일 시끄러운 모습입니다.

총선 정국에서 당이 '원팀'으로 가기는커녕 오히려 내홍의 수렁에 빠지는 양상이지만, 이재명 대표는 사실상 '관망 모드'로 일관하면서 불협화음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탈당 후 신당 창당을 예고해온 이낙연 전 대표와 비주류 모임인 '원칙과 상식'을 비롯한 당내 비명(비이재명)계는 이 대표 사퇴에 이어 '통합 비상대책위원회'로의 지도체제 전환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이 대표를 둘러싼 친명(친이재명) 주류가 강성 지지층인 '개딸' 세력을 등에 업고서 당내 민주주의를 파괴하고 있으므로 총선 승리를 위해서는 당이 혁신과 통합에 나서야 한다는 게 이들의 요구입니다.

여기에 친명계 의원 지역구에서 총선 출마를 준비해온 최성 전 고양시장 등 비명계 인사들이 당내 총선 후보자 검증 단계에서 부적격 판정을 받아 탈락하자 '공천 학살' 주장까지 나왔습니다.

최 전 시장은 오늘(26일) 기자들에게 보낸 메시지에서 "이 전 대표가 추진하는 신당에 참여하기로 했다"고 밝히는 등 원심력이 작동하기 시작했다는 해석도 나옵니다.

25일 권노갑 고문과 정세균 전 국무총리 등이 모인 동교동계 송년 모임에서도 공천 잡음 등이 불거진 당 상황을 놓고 쓴소리가 이어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이 대표가 대표직에서 물러나야 한다는 요구는 친명계가 절대 받을 수 없는 카드라는 게 당 안팎의 전반적인 관측입니다.

계파색이 옅다는 평가를 받는 박주민 원내수석부대표는 오늘 SBS 라디오 '김태현의 정치쇼'에서 "비대위는 보통 당이 엄청난 내홍을 겪거나 그것을 현 지도부가 해결할 수 없을 것 같을 때 구성한다"며 "지금은 그런 상태가 아니다"라고 말했습니다.

이처럼 양측 입장에 타협의 여지가 없이 극심한 분열로 이어질 가능성이 갈수록 커지자 문재인 정부에서 국무총리를 지낸 정 전 총리와 김부겸 전 총리가 내홍 수습을 위한 행보에 나서 주목됩니다.
정세균 전 국회의장과 인사 나누는 이재명 대표

두 사람은 이달 초에 이어 지난 24일 다시 만나 당이 위기에 빠졌다는 인식을 공유하고 활로를 찾아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습니다.

정 전 총리는 오늘 오전에는 이 전 대표를 단독으로 만나는 등 적극적으로 '중재자' 역할을 하고 있다는 해석도 나옵니다.

이달 초만 해도 두 사람은 이 전 대표의 신당 창당 예고를 부정적으로 바라보며 거리를 두는 듯했지만, '분열은 필패'라는 위기감에 직접 얽힌 실타래를 풀고자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역시 문재인 정부에서 총리를 역임한 이 전 대표까지 더해 '3총리'가 만날 가능성도 제기됩니다.

이 전 대표는 오늘 회동 후 입장문에서 "적절한 상황이 조성되면 김 전 총리를 포함한 3총리 회동을 추진할 수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전했습니다.

당 일각에서는 이들 세 사람이 공동으로 공천관리위원장이나 선거대책위원장을 맡을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나옵니다.

다만, 이런 구상은 아직 설익은 아이디어 차원에 불과하다는 게 대체적인 견해입니다.

당의 혁신과 변화가 이뤄지지 않으면 신당을 창당하겠다고 예고해온 이 전 대표가 갑작스레 당의 총선 기구 책임자로 오는 것은 현실적이지 않다는 것입니다.

당 관계자는 통화에서 "선대위원장은 이르면 2월에야 인선을 한다"며 "신당을 공식화한 이 전 대표로서도 현재는 고려하기 어려운 제안 아닌가"라고 말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오는 28일로 예정된 이 대표와 정 전 총리 간 단독 회동이 당 내홍의 분수령이 될 전망입니다.

지난 20일 김 전 총리를 만난 이 대표가 정 전 총리까지 만나면 당의 분열상을 관망해온 입장 대신 혁신과 통합 요구에 대한 답을 내놓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은 상황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