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정치적 올바름(PC) 피하고 역사물 찾았다"…올해의 극장가 트렌드

[스프칼럼] (글 : 홍수정 영화평론가)

스프칼럼 홍수정
연말이 되면 평론가는 긴장된다. 한 해를 정리하며 지난 시간을 정리해야 한다는 강박 때문이다.

올 한 해, 우리는 어떤 영화를 찾았을까.

2023년 개봉한 영화들을 둘러보며, 유독 더 고민이 깊어졌다. 리스트 사이에서 어떤 경향성을 찾아보기 힘들었기 때문이다.

올해 한국에서 흥행한 영화를 순위대로 얘기해 보면 1위 범죄도시 3(관객 수 1068만), 2위 서울의 봄(〃 932만), 3위 엘리멘탈(〃 724만), 4위 스즈메의 문단속(〃 557만), 5위 밀수(〃 514만), 6위 더 퍼스트 슬램덩크(〃 479만), 7위 가디언즈 오브 갤럭시 3(〃 421만), 8위 미션 임파서블: 데드 레코닝 PART ONE(〃 402만), 9위 콘크리트 유토피아(〃 385만), 10위 아바타: 물의 길(〃 349만) 순서다. 21일 기준,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통계를 참고했다.

생각에 잠겼던 나는 다른 통계 하나를 더 접하고서 비로소 실마리를 잡을 수 있었다. 올해 전 세계 박스오피스 순위다. 국내와 전 세계 관객을 비교해 보는 것이다. 더 넘버스(The Numbers)에 따르면 올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사랑을 받은 영화는 그레타 거윅이 연출한 <바비>였다. 이어서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 <만강홍: 사라진 밀서> 등의 순서다.

영화 <바비> 포스터
리스트를 보다 보면 눈에 띄는 부분이 있다. 그것은 '세계적으로 사랑받았지만, 한국에서 유독 사랑받지 못한 작품'들이다. 그러니까 선택이 아니라, 회피야말로 우리의 진정한 성향을 드러내 보인다.

한국 관객에게 선택받지 못한 영화 중에는 <바비>와 <인어공주>가 있다. 두 영화는 다른 나라에 비해 국내에서 유독 인기가 없었다. <바비>는 관객 수 58만 명, <인어공주>는 64만 명을 동원하는 데 그쳤다.

두 영화의 공통점은 PC(정치적 올바름) 이슈와 맞닿아 있다는 것이다. <바비>는 젠더 이슈를 정면으로 다루고 있고, <인어공주>는 의도하든 하지 않았든 인종 논란에 휩싸였다. 지금 한국의 관객은 영화관에서 PC 이슈와 만나고 싶지 않아 한다. 이유는 다양할 것이다. PC에 피로감을 느끼는 것일 수도, 익숙하지 않은 것일 수도, 혹은 다른 이유일 수 있다. 이 글에서 그 이유를 단정하기는 어렵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