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인천시, '제물포 르네상스' 청사진 공개…"내항·원도심 확 바뀐다"

인천시, '제물포 르네상스' 청사진 공개…"내항·원도심 확 바뀐다"
▲ 제물포르네상스 조감도

인천 내항과 주변 중구와 동구 일대를 새로운 미래 성장 산업과 문화·관광 거점으로 조성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오늘(19일) 인천항 상상플랫폼에서 민선 8기 핵심 공약인 '제물포 르네상스' 마스터플랜 대시민 보고회를 열고 이같은 청사진을 공개했습니다.

이번 마스터플랜에서는 원도심과 문화관광, 산업경제, 내항 개발 등 4대 미래 솔루션과 65개 주요 사업 추진과제가 제시됐습니다.

원도심 부문에서는 혁신적인 정주환경 개선을 통해 누구나 살고 싶은 도시를 만든다는 구상입니다.

지하화를 추진 중인 경인선과 인천발 KTX가 운행할 예정인 수인선, 앞으로 건설될 제2공항철도, 인천순환선, 연안부두선 등 철도망을 도로 교통과 연계해 '제물포형 10분 생활권'을 구축하기로 했습니다.

동인천역은 행정구역 개편으로 신설될 제물포구 신청사를 중심으로 행정과 교통, 재생의 통합거점으로 만들 계획입니다.

문화관광 분야에서는 제물포를 상징하는 오큘러스 타워와 세계 최대 규모 문화복합시설 큐브(k-ube)를 건립하고 테마거리 제물포 웨이브와 야간경관을 활용한 홀로포트인 월미 등을 관광명소로 조성하기로 했습니다.

산업경제 분야에서는 경제자유구역 지정을 통해 기업과 투자 유치 환경을 대폭 개선하고 지역 특화산업인 소재·부품·장비 등 뿌리산업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 공업지역 정비 방안을 추진합니다.

아울러 미래 성장 산업인 바이오와 도심항공교통(UAM), 의료산업을 선도하고 있는 송도와 영종, 청라국제도시와 연계해 첨단산업 지원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입니다.

내항 개발 분야는 주변 지역 개발계획과 연계해 수변 문화 공간으로 개편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1단계로 내항 1·8부두 재개발 사업을 이른 시일 안에 착공하고 2단계로 2·3·6부두 재개발을 함께 추진할 수 있도록 관련 협의 절차를 밟기로 했습니다.

1974년 개장한 인천 내항은 신항과 북항 등 인천의 다른 항만 개발이 본격화하면서 물동량이 줄고 있습니다.

여기에 내항 주변 주민들이 항만물류시설 가동에 따른 소음과 분진 피해를 30년 넘게 호소하고 있어 내항 기능 조정과 주변 원도심을 하나로 묶는 재개발의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됐습니다.

제물포르네상스는 1단계로 2026년까지 경제자유구역 지정과 내항 1·8부두 개발, 인천역·동인천역 복합개발 등을 추진하고 2단계로 2030년까지 내항 2·3·6부두와 큐브 개발 등을 진행할 계획입니다.

마지막 3단계로 2040년까지 신설 철도망과 마리나 시설, 산업혁신밸리 등을 구축해 제물포르네상스 프로젝트를 완성하게 됩니다.

유 시장은 "지난 세기 대한민국의 경제성장을 이끌었던 제물포가 제물포르네상스를 통해 원도심과 신도시 동반성장의 성공모델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인천시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