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올해 부실징후기업 46개사 증가한 231개…부동산 업종 최다

올해 부실징후기업 46개사 증가한 231개…부동산 업종 최다
올해 들어 금리 상승 영향에 따른 연체 발생이 속출하며 부실 징후를 드러내는 기업들이 급증세입니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이 올해 정기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한 결과 231개사를 부실징후기업(C·D등급)으로 선정했습니다.

전년 대비 46개사가 늘어난 수치입니다.

부실징후기업 중 C등급(경영 정상화 가능성 높음)은 전년보다 34개사 증가한 118개사, D등급(경영 정상화 가능성 작음)은 12개사 늘어난 118개사로 집계됐습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 원 이상)이 9개사, 중소기업(금융권 신용공여 500억 원 미만)이 222개사로 전년 대비 각각 7개사, 39개사 증가했습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업(22개)에 속한 기업이 가장 많았고 도매·상품중개(19개), 기계·장비, 고무·플라스틱, 금속가공업(각 18개) 등이 그 뒤를 이었습니다.

부실징후기업 수는 코로나 기간 유동성 지원 조치 등으로 감소하다가 지난해부터 증가 추세로 전환한 바 있습니다.

금감원은 "작년에 이어 대내외 경기 부진 및 원가 상승 등으로 기업 수익성 악화가 지속되고, 올해 들어 금리 상승 영향이 본격화되면서 높아진 금융 비용 부담으로 연체 발생 기업이 증가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 규모는 2조 7천억 원 수준으로 국내은행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은 것으로 추정됐습니다.

부실징후기업 선정에 따른 은행권 충당금 추가 적립 추정액은 약 3천500억 원이며, 이에 따른 국제결제은행(BIS) 비율 변화 폭 또한 미미(0.02%포인트 하락)하다고 금감원은 설명했습니다.

금감원은 부실징후기업에 대한 신속한 워크아웃 및 부실 정리를 유도할 방침입니다.

금감원은 "자구 계획 전제 아래 경영정상화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대해서는 워크아웃을 유도해 채권단 중심의 경영정상화를 지원하는 한편, 정상화 가능성이 낮은 기업은 법적 구조조정 등을 통해 부실을 신속히 정리함으로써 시장 불확실성 해소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 밖에 영업력은 있으나 금융 비용 상승으로 일시적 유동성 어려움을 겪는 기업에 대해서는 신속금융지원이나 프리워크아웃 등을 통해 위기 극복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