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유 붕괴' · 높은 생활비…홍콩인 38% "홍콩 떠나고 싶다"

'자유 붕괴' · 높은 생활비…홍콩인 38% "홍콩 떠나고 싶다"
홍콩 주민의 약 38%가 기회가 되면 홍콩을 떠나고 싶어 한다고 답한 설문 결과가 나왔습니다.

대다수가 국가보안법 시행 후 자유가 붕괴한 것을 이유로 꼽은 가운데 높은 생활비를 이유로 중국 본토로의 이주를 희망한다는 이들도 있어 극명한 대비를 이뤘습니다.

15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중문대가 홍콩 주민 708명을 대상으로 지난 9월 28일∼11월 9일 진행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약 38%는 기회가 되면 홍콩을 떠나겠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9월 같은 조사의 응답률 약 29%보다 약 9%포인트(p) 상승한 결과입니다.

해외로 이주하고 싶다는 응답자들이 꼽은 주된 이유는 '자유, 인권, 표현의 자유의 붕괴'(17.7%), '과도한 정치적 분쟁 혹은 불안정한 정치'(15.1%), '비민주적 정치 시스템'(14.2%)과 '열악한 생활 환경 혹은 혼잡한 생활 공간'(11.2%)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가장 인기 있는 이민 행선지로는 영국(14.2%)이 꼽혔습니다.

이어 캐나다, 호주, 타이완이 뒤를 이었습니다.

그런가 하면 응답자의 약 5분의 1은 기회가 되면 중국 본토로 이주하고 싶다고 답했는데 이는 지난해 같은 조사 응답률보다 9%p 상승한 것입니다.

이에 대해 중문대는 "통계적으로 중요한 변화"라고 짚었습니다.

2019년 거센 반정부 시위 속 홍콩인들의 반중 정서가 고조됐었지만 그와 정반대로 중국 본토로의 이주를 희망하는 이들이 늘어나는 걸로 조사된 것입니다.

본토 이주를 희망하는 주된 이유로는 홍콩의 치솟는 높은 생활비와 비좁은 주택이 꼽혔습니다.

홍콩 입법회(의회)의 유일한 중도파인 틱치연 의원은 영국으로 이주한 홍콩인들 삶이 팍팍하다는 일부 보도가 나오고 있음에도 중산층 개인과 젊은이들의 이민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그는 SCMP에 "홍콩 정부가 국가보안법이 소수만을 겨냥할 뿐이라고 말하면서도 국가보안법에 진지하게 접근하는 것은 많은 이들이 홍콩에 머무는 것을 불편하게 만든다"며 "이는 마치 그들의 자유가 점점 줄어드는 것과 같다"고 지적했습니다.

틱 의원은 아울러 "애국주의 교육법을 강조하는 것 역시 이러한 정서에 기여한다"며 "일부는 정부의 독단적 스타일 탓에 홍콩의 독특함이 사라졌다고 느낀다"고 짚었습니다.

중국은 지난 10월 '애국주의 교육법'을 제정하면서 해당 법이 홍콩과 타이완에도 적용된다고 밝혔습니다.

애국주의 교육법은 중국 공산당의 역사와 업적, 사회주의 체제와 혁명 문화 등은 물론 국가 안보와 국방에 대한 개념도 교육하라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이에 따라 홍콩에서 이제 초등학생도 국가보안법과 중국 공산당, 중국 인민해방군에 대해 배우게 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