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시진핑, 베트남 방문…'미 견제' 안보 · 경제 협력

시진핑, 베트남 방문…'미 견제' 안보 · 경제 협력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12일(현지시간) 베트남 권력서열 1위인 응 우엔 푸 쫑 공산당 서기장 초청으로 이틀간 베트남 국빈 방문을 시작했습니다.

시 주석은 이날 낮 12시쯤 부인인 펑리위안 여사와 함께 하노이 노이바이 공항에 도착해 팜민 찐 총리의 영접을 받았습니다.

시 주석은 2015년과 2017년에 베트남을 방문한 바 있습니다.

시 주석은 방문 기간 쫑 서기장과 보 반 트엉 국가주석과 회담하고 찐 총리도 접견합니다.

양국은 시 주석 방문을 계기로 당 차원의 교류와 안보, 방위, 법무, 교역, 농산물 수출입과 관련해 협력을 강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울러 양국을 연결하는 철도와 고속도로 등 인프라 투자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

중국은 베트남의 가장 큰 교역국입니다.

올해로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맺은 지 15년이 된 양국은 지난해 교역액이 1천756억 달러(약 228조 원)에 달했습니다.

특히 시 주석의 베트남 방문은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패권 경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을 견제하기 위한 포석으로 풀이됩니다.

미중 양국은 동남아시아의 전략적 교두보인 베트남을 끌어안기 위해 외교·경제 부문에서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9월 10일 베트남을 방문해 쫑 서기장과 만나 양국 관계를 '포괄적 동반자'에서 '포괄적 전략 동반자'로 격상하기로 합의했습니다.

당시 경제사절단으로 동행한 인텔, 구글, 앰코 테크놀로지와 보잉 등 다수의 거대 기업 고위 관계자들도 현지 투자 및 사업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미국과 베트남은 또 새로운 반도체 파트너십을 체결해 베트남을 중국을 대체할 공급망으로 육성하기로 했습니다.

스마트폰과 전기차 배터리에 사용되는 희토류 공급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도 체결됐습니다.

베트남은 중국 다음으로 희토류 매장량이 많은 국가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지난 1일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이 시 주석 국빈방문 일정과 현안을 사전 조율하기 위해 베트남을 방문했습니다.

왕 부장과 쩐 루 꽝 부총리는 제15차 베·중 상호협력 운영위원회를 주재하면서 중국이 첨단기술 및 친환경 부문 투자를 확대하고 과학·기술·환경·교통·농업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번 방문에서 양국 관계가 기존의 '포괄적 전략 동반자'에서 중국이 주창해온 '인류운명공동체'로 재정립될지도 주목되는 부분입니다.

인류운명공동체는 시 주석이 2012년 11월 개최된 중국 공산당 제18차 전국대표대회에서 처음 언급한 표현입니다.

이는 인류가 하나의 운명공동체로 발전과 번영을 위해 함께 노력해야 한다는 의미로 미국에 맞서 중국 위주의 세력권을 형성하겠다는 의도가 담겨있습니다.

현재 '비동맹'을 표방하는 베트남과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를 맺은 나라는 한국과 인도, 러시아, 중국, 미국, 일본 등 6개국입니다.

응우옌 민 부 베트남 외교부 차관은 "양국 관계가 새로운 단계로 격상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시 주석은 이날 베트남 노동당 기관지 인민보에 실은 '전략적 의미를 지닌 중국·베트남 운명공동체 구축'이라는 제목의 기고문에서 "함께 손을 잡고 현대화를 향한 새 장을 열자"고 밝혔습니다.

남중국해 영유권 갈등과 관련해 해법이 나올지도 주목됩니다.

중국은 남중국해에 U자 형태로 9개 선(구단선)을 긋고 이 안의 약 90% 영역이 자국 영해라고 주장합니다.

이에 필리핀은 국제상설재판소(PCA)에 소송을 제기했고 PCA는 중국의 영유권 주장이 국제법상 근거가 없다고 2016년 판결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은 이를 무시하면서 필리핀을 비롯해 베트남 등 인근 국가들과 마찰을 빚고 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