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도권 구축 아파트 거래 비중 증가…"저렴한 가격 영향"

수도권 구축 아파트 거래 비중 증가…"저렴한 가격 영향"
고금리 장기화로 자금 융통이 어려워지면서 매수자들이 신축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구축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오늘(11일) 부동산R114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수도권 아파트 가운데 준공 10년 이하인 아파트는 거래 비중이 감소했지만, 10년 초과인 경우 그 비중이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특히 준공 21∼30년 이하 아파트의 매매 비중은 1분기 26.9%에서 4분기 33.0%로 6.1%포인트 늘어 증가 폭이 가장 컸습니다.

같은 기간 11∼20년 이하 아파트는 25.8%에서 27.1%로, 30년 초과의 경우 9.8%에서 11.4%로 각각 증가했습니다.

반면 준공 5년 이하 아파트의 매매 비중은 4분기 17.1%로 1분기보다 5.1%포인트 감소했습니다.

6∼10년 이하 역시 15.4%에서 11.4%로 줄었습니다.

부동산R114는 "신축에 비해 구축 아파트의 주거 선호도가 낮은데도 거래 비중이 커진 주원인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이라며 "주택 시장이 회복되면서 신축 아파트값이 크게 오르자 매수자들이 구축으로 선회하거나 매수를 보류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올해 수도권 아파트 연식 구간별 매매 거래 비중

실제로 준공 21∼30년 이하 아파트의 가격은 5년 이하 아파트의 72.5% 수준으로 나타났습니다.

올해 거래된 준공 21∼30년 이하 아파트의 3.3㎡당 평균 매매 가격은 2천167만 원, 5년 이하는 2천989만 원이었습니다.

한편 준공 30년 초과 아파트 거래가격은 3.3㎡당 3천297만 원으로 가장 비쌌습니다.

이는 재건축을 앞두고 있거나 현재 추진 중인 아파트가 다수 포함된 데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

올해 서울 강남구 개포동 서원대치2단지, 대치동 은마,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등 고가 단지에서 80건 이상의 거래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부동산R114는 "고금리뿐 아니라 특례보금자리론 등 정책 모기지 축소에 따라 높은 수준의 현금 보유력이 요구되는 것도 신축 아파트 매수에 대한 진입장벽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인허가, 착공 등 주택 공급지표가 일제히 하락하고 있어 희소성이 커진 신축 아파트 소유자들은 오른 호가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일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반면 "과거 '영끌' 매수가 많았던 중저가 아파트 밀집 지역과 구축 아파트에서는 이자 부담 증가로 처분하려는 급매물이 늘어날 여지가 있다"며 "경기 위축과 맞물린 집값 추가 하락 우려로 매수자들이 가격 협상이 용이한 매물에 관심을 두는 분위기인 만큼 한동안 구축 아파트 거래 비중은 높은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사진=부동산R114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