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 아파트 전셋값, 평당 2천300만 원 재돌파…9개월만

서울 아파트 전셋값, 평당 2천300만 원 재돌파…9개월만
지난달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9개월 만에 평당(약 3.3㎡) 2천300만 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0일 KB부동산의 주택가격 통계에 따르면 올해 11월 서울 아파트의 평당 전세 평균 가격은 2천308만 5천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평당 2천300만 원을 웃돈 것은 지난 2월(2천329만 4천 원) 이후 처음입니다.

이는 지난 10월(2천288만 3천 원)보다 0.88% 오른 가격이기도 합니다.

올해 1월 평당 2천398만 3천 원 수준이던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이후 하락세를 지속해 지난 7월 2천245만 1천 원까지 내렸으나, 8월부터는 상승했습니다.

세부 지역별로 보면 지난달 강남 11개 구의 평당 아파트 전셋값 상승률은 평균 0.95%로 강북 14개 구(0.82%)보다 높았습니다.

강남 권역에서는 강서(1.48%), 영등포(1.45%), 강동(1.18%), 송파(1.13%) 등의 오름세가 두드러졌습니다.

강북 권역의 경우 용산이 전월보다 2.98% 올라 서울 전체 지역 가운데 가장 상승 폭이 컸고, 성북(2.13%)도 2%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서울 안에서 전월보다 전셋값이 떨어진 지역은 관악(-0.18%) 뿐이었습니다.

전국 기준 지난달 아파트 전셋값은 평당 1천181만 9천 원으로 전월 대비 0.64% 상승했습니다.

인천의 상승률은 0.36%로 전국 평균을 밑돌았으나, 경기가 0.95% 오르면서 수도권 역시 전국 평균을 뛰어넘는 0.85%의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5개 광역시의 경우 평균 0.16% 오르는 데 그쳐 보합권에 머물렀습니다.

대전(1.06%)과 광주(0.52%)는 상승했으나, 부산(-0.07%)과 대구(-0.18%), 울산(-0.20%)은 내렸습니다.

2020년 임대차 3법 도입 여파로 전세 매물이 급감하면서 치솟기 시작했던 전셋값은 올해 상반기 폭락해 임대인이 기존 세입자의 전세보증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역전세난'으로 이어졌습니다.

이에 정부는 지난 7월 말 역전세 해소를 위해 전세 보증금 반환 용도에 한해 대출 규제를 완화했는데, 이에 따라 임대인들의 유동성이 개선되면서 전셋값이 반등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