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폭삭' 부서진 맨홀 뚜껑…일일이 열어봐야 문제 안다

<앵커>

며칠 전, 부산에서 길 가던 사람이 낡은 콘크리트 맨홀 뚜껑을 밟았다가 그게 갑자기 부서져서 다치는 일이 있었습니다. 이 사고 이후 당국의 조사가 시작됐는데요, 겉보기에는 같은 맨홀이라도 하나하나 뚜껑을 열어봐야 문제가 있는지 확인할 수 있어서 시간이 꽤 걸릴 걸로 보입니다.

KNN 조진욱 기자입니다.

<기자>

한 남성이 길을 걷다 맨홀 뚜껑을 밟고 그대로 쓰러집니다.

오래된 콘크리트 뚜껑이 부서지면서 사고를 당한 것입니다.

사고가 난 맨홀의 두께는 2.5cm로, 지난 2006년에 설치됐습니다.

사고 이후 관련 기관마다 낡은 콘크리트 맨홀을 찾는 전수조사를 시작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열지 않고서는 그 안에 어떤 재질이 있는지 확인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결국, 직원들이 일일이 찾아다닐 수밖에 없습니다.

부산시는 자체 전산망에 맨홀 현황을 적어놓는데, 콘크리트나 주철 같은 재질에 대한 구분은 없습니다.

겉보기에는 똑같은 맨홀이지만, 그 속에 철근이 포함됐거나 추락 방지망이 설치된 경우도 있어서 일일이 열어봐야 합니다.

실제로 부산에 설치된 맨홀만 27만 개가 넘습니다.

[도성혁/부산 동구청 하수계장 : (전산망에) 맨홀 위치라든지 개수가 등재돼 있는데, 조화 맨홀이라고 따로 구분 안 돼 있기 때문에 경비를 절약하기 위해 싼 제품을 쓰는 경우도 있습니다.]

낡은 콘크리트 맨홀의 교체나 보강 공사가 시급한데, 부족한 예산과 인력 확보가 관건입니다.

특히 해안가 지역의 특성상 맨홀 아래로 바닷물이 지나가다 보니 염분에 의한 영향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전국적으로 설치된 맨홀 수는 340만 개, 맨홀 뚜껑과 관련해 보다 꼼꼼한 규정 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

(영상취재 : 이원주 KNN)

KNN 조진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