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2022년 국내 R&D 투자 약 112조…GDP 대비 세계 2위 유지

한국 총 연구개발비 및 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 추이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연합뉴스)

지난해 민간과 정부를 합쳐 국내에서 연구개발(R&D)에 투입된 비용이 112조 6천460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비중은 5.21%로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를 유지했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오늘(7일) 이런 내용의 '2022년 연구개발활동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연구개발 활동을 수행 중인 공공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 7만 3천661개 기관을 대상으로 진행됐습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의 총 연구개발비는 재작년보다 10조 5천108억 원 늘었습니다.

이중 정부 재원은 26조 3천283억 원(23.4%), 민간과 외국 재원은 86조 3천177억 원(76.6%)으로 민간과 외국 재원 비중이 전년 대비 0.2%p 증가했습니다.

연구수행 주체별로 보면 기업이 89조 4천213억 원으로 전체의 79.4%를 차지했고, 공공연구기관이 12조 9천186억 원, 대학이 10조 3천61억 원을 지출했습니다.

연구개발 단계별로는 기초연구가 16조 9천184억 원(15%), 응용연구가 22조 4천560억 원(19.9%), 개발연구가 73조 2천717억 원(65%)로 나타났습니다.

2022년 한국 총 연구원수는 60만 1천530명으로 전년 대비 1만 4천864명 늘었습니다.

연구보조원을 포함한 연구개발인력수는 81만 3천763명이었습니다.

상근연구원 수는 48만 8천774명으로 재작년 대비 1만 8천46명 늘어, 중국과 미국, 일본에 이어 세계 4위로 조사됐습니다.

경제활동 인구 1천 명당 연구원 수는 17.4명, 인구 1천 명당 연구원 수는 9.5명으로 세계 1위 수준이라고 과기정통부는 설명했습니다.

기업 연구원이 44만 3천270명으로 가장 많았고 대학이 11만 4천854명, 공공연구기관이 4만 3천406명으로 뒤를 이었습니다.

학위별로는 박사 12만 4천290명, 석사 16만 3천448명, 학사 28만 2천669명이었습니다.

한편, 매출액 상위 10개 기업은 연구개발비와 연구원, 박사연구원 수가 모두 줄어든 반면, 11~30위 기업 연구개발비는 11조 5천922억 원으로 전년 대비 3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