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대구 '인구감소지역' 인구 10년 새 22.5% 줄어…경북은 8.4%↓

대구 '인구감소지역' 인구 10년 새 22.5% 줄어…경북은 8.4%↓
▲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지난해 대구에서 남구와 서구 등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된 곳의 인구는 10년 전인 2012년에 비해 22.5%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경북은 8.4% 감소로 나타났습니다.

인구감소지역은 연평균인구증감률, 인구밀도, 청년순이동률, 고령화비율 등 8개 지표로 구성한 '인구감소지수'를 토대로 지정합니다.

대구는 남구와 서구가 해당합니다.

경북은 포항과 경주, 경산, 구미, 김천, 칠곡, 예천을 제외한 16개 시·군(군위는 경북에 포함)이 해당합니다.

대구의 지난해 인구감소지역 주민등록인구는 30만 1천 명으로 2012년(38만 9천 명)에 비해 22.5% 줄어들었습니다.

10년 동안 인구감소(8만 8천 명) 가운데 순유출(7만 5천 명)은 86.1%를 차지했고, 사망자가 출생아보다 많은 자연감소(1만 1천 명)는 12.6%를 차지했습니다.

인구감소지역의 출생아 수(1천 명)는 2012년 대비 72.7% 감소했고, 사망자 수(3천 명)는 2012년 대비 37.9% 늘어났습니다.

대구 인구감소지역의 평균연령은 49세로 전국평균(44세)보다 5살 많았습니다.

또 유소년(0∼14살) 인구는 2012년 대비 49% 감소했고, 유소년인구 비중(7%)은 전국(11.7%)보다 4.7%p 낮았습니다.

65살 이상 고령인구는 2012년 대비 32.4% 감소했지만, 고령인구 비중(34.1%)은 전국(17.6%)보다 16.5%p 높았습니다.

경북의 지난해 인구감소지역 주민등록인구는 87만 명으로 2012년(95만 1천 명)에 비해 8.4% 줄었습니다.

지난 10년 동안 인구감소(8만 명) 가운데 자연감소(6만 2천 명)가 77.6%를 차지했고, 순유출(1만 4천 명)은 17.3%였습니다.

경북 인구감소지역의 출생아 수(3천 명)는 2012년 대비 53.5% 줄었고, 사망자 수(1만 4천 명)는 2012년 대비 32.1% 늘어났습니다.

인구 감소지역 평균연령은 52.4살로 전국평균보다 8.4살 많았습니다.

또 유소년 인구는 2012년 대비 32.4% 감소했고, 유소년인구 비중(8.2%)은 전적보다 3.5% 낮았습니다.

고령인구는 2012년 대비 27.4% 증가했고, 고령인구 비중(32.8%)은 전국보다 15.2% 높았습니다.

동북지방통계청 관계자는 "대구시와 경북도의 인구·사회 정책 등을 지원하기 위해 통계청 국내인구이동통계 등을 활용해 인구감소지역 인구 현황과 이동 사유 등을 분석했다"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