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와인 · 위스키 직구, 출발지에 따라 국내 구매가보다 비싸"

와인·위스키 1병 구매시 국내가격, 해외직구 가격 비교 (사진=한국소비자원 자료, 연합뉴스)

와인이나 위스키 한 병을 일부 국가에서 직접구매 하는 가격이 국내 판매 가격보다 비싼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또 같은 제품이라도 직구 출발지에 따라 세금과 배송비가 달라 최종 판매가격은 몇만 원씩 차이가 나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한국소비자원은 프랑스·이탈리아·미국산 와인 10개 제품의 해외 쇼핑몰 '직접 배송' 또는 '배송 대행' 구매 시 최종가격을 국내 판매가와 비교한 결과 한 병 기준 직구 가격이 10개 제품 중 2개만 3.9%∼17.0%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오늘(5일) 밝혔습니다.

조사 대상 10개 제품 중 8개의 직구 가격이 국내 판매가보다 비싼 것입니다.

위스키는 10개 제품 모두 한 병 직구 가격이 국내 판매가보다 비싼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주류 해외 직구는 제품 가격 외 배송비와 관세, 주세, 교육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이 부과됩니다.

다만, 150달러 이하·1리터(L) 이하 한 병만 구매하면 관세와 부가가치세는 면제됩니다.

소비자원은 또 주류 직구 시 같은 제품이라도 원산지와 출발지가 어디인지, 배송 방법에 따라 최종가격이 다르다고 지적했습니다.

예를 들어 프랑스산 '찰스하이직 블랑드블랑' 와인 한 병의 국내 판매가는 19만 원입니다.

그러나 이 제품을 이탈리아에서 주문하면 와인 가격 8만 원에 세금 3만 2천 원, 배송비 11만 원을 더해 모두 22만 6천 원이 듭니다.

같은 와인을 홍콩에서 들여오는 데 드는 비용은 와인 가격 7만 7천 원에 세금 3만 원, 배송비 4만 9천 원을 포함해 모두 15만 7천여 원입니다.

소비자원은 또 주류를 150달러 이상, 또는 2병 이상 구매할 때는 원산지와 쇼핑몰 국가가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등 동일한 FTA 체결국일 때만 관세를 면제받을 수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소비자원은 "주류 직구 시 통상 세금은 해외 쇼핑몰에서 확인하기 어렵고, 국내 도착 후 부과되므로 구매 결정 전에 배송비와 세금이 포함된 최종가격을 사전에 확인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그러면서 "배송단계에서 외부 온도에 따른 변질, 누수, 파손 등 가능성이 있으니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관세청에 따르면 주류 해외직구 금액은 2018년 26억 1천만 원에서 지난해 344억 2천만 원으로 급증했습니다.

(사진=한국소비자원 자료,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