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동아시아지역 극한 호우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 때문

전선호우 강도 변화(왼쪽), 온난화가 전선호우 강도에 주는 영향(오른쪽) (사진=KAIST 제공, 연합뉴스)

동아시아 지역에서 최근 60여 년간 기상 전선에 의한 호우 강도가 약 17% 증가했고, 주원인은 인간 활동에 의한 기후변화 영향이었다는 것이 메타버스 기술을 통해 처음으로 입증됐습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문술미래전략대학원 김형준 교수와 인문사회연구소 문수연 박사가 한·미·일 국제 공동 연구를 통해 이같은 성과를 거뒀다고 오늘(5일) 밝혔습니다.

여름 호우 강도가 과거 몇십 년간 변화돼 온 사실은 이미 세계 각지에서 보고됐습니다.

그러나 동아시아의 여름 호우는 태풍, 온대 저기압, 전선과 같은 다양한 프로세스에 기인하고, 특히 여름 호우의 40% 이상을 차지하는 전선이 야기하는 호우에 관한 연구는 미흡했습니다.

또 호우는 기후 시스템의 자연 변동이나 우연성에 의한 영향도 존재하기 때문에 인간 활동에 의한 온난화가 전선 유래 호우 강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고 있는지는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KAIST, 동경대, 동경공업대, 전남대, 광주과학기술원(GIST), 유타주립대 등 한·미·일 8개 기관으로 구성된 국제 공동연구팀은 동아시아의 기상 전선에 의한 호우 강도를 과거 약 60년간 관측 데이터로 확인했습니다.

그 결과, 중국 남동부 연안 영역부터 한반도, 일본에 걸쳐 호우 강도가 약 17% 증가한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이러한 변화의 원인을 밝히기 위해 인간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이 있는 지구와 그렇지 않은 지구를 시뮬레이션한 지구 메타버스 실험을 이용해 온실가스 배출에 의해 호우 강도가 강화됐고, 발견된 변화가 인간 활동에 의한 온난화 영향을 배제하고서는 설명할 수 없음을 증명했습니다.

KAIST 김형준 교수는 "이번 연구는 동아시아에서 기상 전선에 의한 호우 강도가 최근 반세기에 걸쳐 유의미하게 증가했음을 밝히고, 그러한 변화에 이미 인간의 흔적이 뚜렷하게 남겨져 있음을 증명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김 교수는 "이는 전선성 호우의 영향을 크게 받는 동아시아의 메가시티(Mega-city) 등에 기후변화 대책을 마련하고 가까운 미래와 기후변화에 대해 효율적으로 적용하기 위해 꼭 필요한 정보로 활용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지난달 24일 실렸습니다.

(사진=KAIST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