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서울 아파트 거래 1월 이후 최저…지방 거주자 원정 매입도 '뚝'

서울 아파트 거래 1월 이후 최저…지방 거주자 원정 매입도 '뚝'
주택시장이 다시 침체기에 접어든 가운데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1월 이후 9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외 수도권이나 지방 등 타 지역 거주자들이 서울 아파트를 사들인 '원정 매입' 비중도 1년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전반적인 거래 부진으로 인해 아파트값이 한동안 조정기를 거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옵니다.

오늘(5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 10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계약일 기준)은 2천313건으로 올해 1월(1천412건) 이후 9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연초 기준금리 동결과 대대적인 규제지역 해제, 특례보금자리론 지원 등으로 급매물이 팔리기 시작하며 올해 4월(3천191건)부터 거래량이 3천 건을 넘어서 8월에는 연중 최고인 3천858건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나 집값 고점 인식에 따른 부담감 등으로 9월 들어 3천375건으로 감소한 뒤 9월 말 정부가 특례보금자리론 일반형(6억∼9억 원) 대출을 중단하면서 10월에는 전월 대비 1천 건 이상(31.5%) 감소했습니다.

최대 5억 원까지 지원되는 특례보금자리론은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을 적용받지 않아 주택을 구입하려는 무주택자나 갈아타기 수요로부터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마포구 아현동의 한 중개업소 대표는 "추석 이후부터 매수 문의가 급감하더니 지금은 집을 사겠다는 사람이 거의 없다"며 "정부가 정책대출인 특례보금자리론을 축소하면서 갈아타기 수요가 사라진 가운데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금리까지 올라 거래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구별로 전월 대비 거래량이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광진구로, 지난 9월 78건에서 10월에는 38건으로 51.3%가 감소했습니다.

또 서대문구(-46.5%), 송파구(-44.6%), 양천구(-40.3%), 서초구(-41.1%) 등이 40% 이상 줄었습니다.

거래량이 줄어든 데에는 타 지역 거주자의 원정 매입 감소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지난 10월 타 지역 거주자의 서울 아파트 매입 비중은 21.3%로 작년 7월(21.1%) 이후 1년 3개월 만에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특례보금자리론 등 대출 축소에다 고금리 상황이 이어지면서 무리하게 집을 사려는 투자 수요가 감소한 것으로 해석됩니다.

서울 거주자들이 수도권이나 지방의 아파트를 구입하는 비중도 지난 10월 4.8%를 기록하며 작년 11월(4.7%) 이후 11개월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서울의 한 중개업소 모습

이러한 거래량 감소는 전국에 걸쳐 나타나며 주택시장 침체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경기부동산포털에 따르면 지난 10월 경기도 아파트 거래량은 7천225건으로 역시 1월(4천759건) 이후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국토교통부가 신고일 기준으로 집계한 지난 10월 주택 거래량은 총 4만 7천799건으로 전월 대비 3.3% 감소했습니다.

거래 부진은 11월에 이어 이달까지 지속될 분위기여서 아파트값도 당분간 약세를 보일 전망입니다.

KB국민은행 조사에 따르면 전국과 서울 아파트값은 11월 둘째 주부터 지난주까지 3주 연속 하락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 조사에선 지난주 전국 아파트값이 지난 6월 셋째 주(-0.01%) 이후 23주 만에 하락 전환했고, 서울 아파트값은 28주 만에 상승세를 멈췄습니다.

부동산R114 여경희 수석연구원은 "내년 1월에는 6억 원 이하 주택에 빌려주는 특례보금자리론 우대형도 중단될 예정이어서 매수심리는 더욱 위축되고, 집값도 한동안 약세를 보일 것"이라며 "다만 내년도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1만 건 이하로 떨어지는 등 공급 부족 문제로 인해 하락 폭이 작년만큼 크진 않을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