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작년 30세 이상 9%가 당뇨병 진단…용산구 치료율 최저

당뇨병 진단 경험률 그래프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연합뉴스)

지난해 30세 이상 인구의 9%가량이 당뇨병을 진단받은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지역별로 당뇨병 진단을 받은 이들 중 치료를 받는 비율은 서울 용산구가 가장 낮았습니다.

질병관리청은 성인 약 23만 명을 대상으로 매년 하는 지역사회건강조사를 분석한 지방자치단체별 당뇨병 진단 경험률 현황을 오늘(4일) 공개했습니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의사에게서 당뇨병을 진단받은 30세 이상 인구 비율입니다.

이번 조사는 면접을 통한 설문으로 이뤄져 과소 혹은 과다 추계의 한계가 있을 수 있다고 질병청은 설명했습니다.

우리나라 30세 이상 국민의 당뇨병 진단 경험률(시·군·구 중앙값)은 지난해 9.1%로, 한 해 전보다 0.3%포인트 늘었습니다.

당뇨병 진단 경험률은 2017년 8.1%에서 2018년 7.9%로 한 차례 감소했을 뿐 최근 10년간 꾸준히 상승 추세였습니다.

당뇨병 진단 경험이 있는 이들의 전체 치료율은 지난해 91.8%였습니다.

이 비율은 2018년부터 90%를 웃돌아 대체로 높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2020∼2022년 평균 시군구별 당뇨병 진단 경험자의 치료율은 서울 용산구(59.5%)에서 가장 낮았습니다.

그다음으로 대전 대덕구(66.4%) 서울 동대문구(68.7%) 등의 순으로 낮았습니다.

치료율이 낮은 시군구 10곳 중 동대문구(14.4명), 충북 증평군(13.8명), 용산구(12.3명), 대전 서구(11.8명) 등 4곳은 10만 명당 당뇨병 사망률이 전국 평균(9.4명)보다 높았습니다.

치료율은 부산 강서구(96.7%)가 가장 높았고, 인천 남동구·경북 성주군(각 96.6%), 경남 거창군(96.4%)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제주의 경우 2021년만 해도 치료율 96.6%로 전체 17개 시도 중 1위였지만, 지난해에는 16위(88.2%)로 내려앉았습니다.

지영미 질병관리청장은 "당뇨병은 작년 기준 우리나라 사망원인 8위로, 조기사망과 장애에 따른 질병 부담이 높은 질환"이라며 "각 지자체에서는 지역주민의 당뇨병 예방·관리를 위한 교육과 홍보를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질병청은 ▲ 적정 체중·허리둘레 유지 ▲ 규칙적인 운동 ▲ 균형 잡힌 식단 ▲ 금연·금주 등 좋은 생활 습관 유지 ▲ 정기적 검진 등을 통해 당뇨병을 예방·관리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진=질병관리청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