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야생 백두산 호랑이 · 표범, '이례적으로' 같은 곳에 나타난 이유

야생 백두산 호랑이 · 표범, '이례적으로' 같은 곳에 나타난 이유
▲ 옌볜 반석진에서 포착된 야생 백두산 호랑이

북한과 러시아 접경인 중국 옌볜에서 영역 의식이 강한 야생 백두산 호랑이와 동북 표범이 이례적으로 같은 장소에 출몰했습니다.

오늘(1일) 연변라디오TV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지난달 20일 지린성 옌볜자치주 훈춘시 반스진의 변경 마을 도로에서 몸길이 2m가량인 백두산 호랑이 한 마리가 주위를 살피며 움직이는 모습이 CCTV에 찍혔습니다.

이어 일주일 후인 같은 달 27일 같은 지점에서 유유히 걸으며 먹이를 찾는 동북 표범 한 마리가 CCTV에 포착됐습니다.

야생 동물 전문가들은 "야생 호랑이와 표범은 영역 의식이 강해 같은 장소에 출몰하는 경우가 극히 드물다"며 "생태 환경 개선에 따라 서식 및 생존 공간이 양호해진 영향으로 보인다"고 진단했습니다.

먹잇감이 풍부해지면서 호랑이와 표범이 자신의 영역 침범을 용인하게 됐다는 얘기입니다.

현지 경찰은 겨울철 먹잇감이 부족해진 야생 호랑이와 표범이 민가에 출현할 수 있다며 출몰 지점에 경고 안내판을 세우고, 사고 예방과 안전에 유의할 것을 당부했습니다.

앞서 지난달 8일과 9일 헤이룽장성 하얼빈시 이란현 다롄허진 농촌 마을에 야생 백두산 호랑이가 잇달아 출몰, 소 두 마리를 물어 죽였습니다.

또 같은 달 23일 자무쓰시 하이칭 파출소 CCTV에 얼음이 언 우수리강을 가로질러 밀림 속으로 사라지는 호랑이 모습이 포착됐고, 29일에는 헤이룽장성 무단장시 쑤이양의 한 야산에 누워 있다 달아나는 호랑이가 산림 작업을 하던 인부들에게 목격됐습니다.

험준한 산맥과 큰 강이 흐르는 북한과 러시아 접경의 헤이룽장과 지린 등 중국 동북 지역은 호랑이와 표범 등 야생 대형 동물의 주요 서식처다.

중국 당국은 이 일대에 백두산 호랑이와 동북 표범이 각각 60여 마리 서식하는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중국은 2021년 10월 헤이룽장성과 지린성 일대 1만 4천100㎢를 야생 백두산 호랑이·표범 국가공원으로 지정, 보호에 나섰습니다.

(사진=조글로미디어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