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수령 272살 제주 최고령 왕벚나무 국가 차원 보호 검토

수령 272살 제주 최고령 왕벚나무 국가 차원 보호 검토
올해로 수령 270살이 넘은 제주 최고령 '봉개동 왕벚나무'를 체계적으로 보존하는 방안이 추진됩니다.

제주도에 따르면 산림청 국가 산림문화자산 심사위원회는 제주 봉개 최고령 왕벚나무 등 전국 유형 산림 자산 15건에 대해 산림문화자산 지정 심사를 진행했습니다.

산림청은 지난 9월 국가 산림문화자산 지정 예고 공고를 통해 제주 봉개 최고령 왕벚나무가 생태·경관·학술적 가치가 있고 보존 가치가 높다고 평가했습니다.

산림청은 그대로 방치하면 고사 우려가 있으므로 국가적 차원에서 보존하고 자원화하기 위해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최종 지정 여부는 다음 달 8일 결정됩니다.

제주 최고령 왕벚나무 (사진=난대·아열대연구소 제공, 연합뉴스)

제주도는 이 최고령 왕벚나무 주위에 보호 시설을 설치하고 주변에 탐방로를 만드는 등 명소로 조성할 계획입니다.

2016년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연구소는 해발 607m 높이의 제주시 봉개동 개오름 남동쪽 사면에서 당시 수령 265살 된 왕벚나무를 발견했습니다.

올해로 이 왕벚나무는 수령 272살을 맞았습니다.

이 나무의 나이는 목편을 추출·분석해 추정했고, 연평균 2.85±0.96mm씩 생장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나무 높이는 15.5m, 밑동 둘레는 4.49m입니다.

이 역시 지금까지 알려진 왕벚나무 중 최대 크기입니다.

제주에서 기상 관측이 시작된 1923년부터 지금까지 평균 온도, 강수량, 풍속, 평균 습도, 연 일조량 등 기상 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해보니 이 왕벚나무는 온도가 높은 해일수록 생장 속도가 느리고, 습도가 높은 해일수록 잘 자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나무의 가지와 잎이 달린 부분의 폭(수관폭)은 23m이며, 아래에서는 아그배나무, 때죽나무, 상산 등 모두 15종의 나무가 자라고 있습니다.

나무껍질에는 일엽초, 마삭줄, 송악 등 9종의 착생식물이 붙어 있습니다.

이전까지 알려진 가장 크고 오래된 왕벚나무는 천연기념물 159호인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의 3그루 중 한 그루(수령 207살)였습니다.

난대·아열대연구소의 관계자는 제주도가 유일한 왕벚나무 자생지임을 더욱 확고하게 하는 발견이라며 생물학적으로는 이 종의 자연 수명을 규명하는 재료로 가치를 가진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난대·아열대연구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