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성공 가능성 커진 북한 3차 발사…이례적으로 사전 경고

<앵커>

북한이 11월 안에 정찰위성을 쏠 수도 있다고 어제(19일) 신원식 국방장관이 밝혔습니다. 군 당국은 올해 2차례 발사에 실패했던 북한이 이번에는 러시아의 지원을 받은 만큼 성공할 가능성이 커졌다고 분석했습니다. 그래서 정부는 북한에 발사 중단을 촉구하며 이례적으로 사전 압박에 나섰습니다.

김태훈 국방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합동참모본부가 북한의 정찰위성 발사 움직임에 대해 우리 안보를 위협하는 도발 행위라며 즉각 중단을 촉구하며 경고했습니다.

[강호필/합참 작전본부장 : 우리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군사정찰위성 발사를 강행한다면 우리 군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조치를 강구할 것이다.]

국가안보실도 조태용 실장 주재로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를 열고 북한의 도발 가능성과 대응 방안을 점검했습니다.

지난 5월 북한의 1차 위성 발사는 2단 엔진 고장으로, 8월 2차 위성 발사는 3단 비상 폭발 체계 오류로 실패했습니다.

하지만 김정은 방러 이후 상황이 달라졌다는 것이 우리 군의 판단입니다.

군 핵심 관계자는 SBS에 "러시아 도움으로 1, 2차 실패의 결함을 수정한 만큼 3차 발사의 성공 가능성은 크다"고 말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정부와 군의 이례적인 선제 경고는 발사 중단 촉구와 동시에 북한과 러시아에 발사 실패에 대한 부담감을 주려는 의도로 풀이됩니다.

특히 도발 시 필요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했는데, 이는 9·19 남북군사합의 일부 효력 정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9·19 합의로 접경 지역에서 사격 훈련과 감시 정찰에 제약을 받고 있다고 주장해온 만큼 이 조항부터 효력 정지를 본격 검토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북한이 도발하면 한반도 주변에 있는 미 칼빈슨 항모가 참여하는 한미일 해상 연합훈련도 이뤄질 것으로 전망됩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 영상편집 : 정성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