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증권사 매장, 1년 사이 57곳 사라져…고액 자산가 집중 공략

증권사 매장, 1년 사이 57곳 사라져…고액 자산가 집중 공략
▲ 서초구 반포동 '래미안 원베일리' 아파트 모습

증권 업황 부진으로 비용 절감에 나선 증권사들이 점포 수를 줄이면서도 고액자산가를 타깃으로 하는 점포는 대대적으로 오픈하는 '선택과 집중'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오늘(17일) 금융투자협회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증권사들이 3분기 영업보고서에 명시한 국내 지점(영업소 포함) 수는 842개로 1년 전(899개)과 비교해 57곳이 줄었습니다.

3개월 전인 지난 6월 말(853개) 대비로는 9개 지점이 감소했습니다.

2019년 말 1천26곳에 달했던 증권사 점포는 지점 간 통폐합을 거치며 2020년(981개), 2021년(920개), 2022년(883개) 등 꾸준히 줄었습니다.

최근에도 증권사들의 점포 통합·이전 움직임은 이어지고 있습니다.

미래에셋증권은 오는 20일부터 명동 지점을 광화문으로, 삼성역은 테헤란밸리 지점으로 각각 통합해 운영할 예정입니다.

지난달에는 용산·마포, 통영·거제 지점을 통합했으며 이달에는 잠실새내역 지점을 투자센터 잠실로 통합 이전했습니다.

군산·전주, 안동·북대구 지점도 이달 중순쯤부터 통합 운영하고 있습니다.

증권사들이 점포 수를 줄이는 이유는 고객들이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을 통한 비대면 거래를 선호하면서 임차료와 인건비 등 비용이 많이 드는 오프라인 지점을 유지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반면 고액 자산가들이 상대적으로 많은 '부촌'에는 차별화된 서비스를 내세운 영업점을 열며 고액 자산관리 비즈니스를 강화하고 있습니다.

일례로 최근 강남 최고 '부자 아파트'로 떠오르고 있는 서초구 반포 래미안 원베일리 상가에는 증권사 5곳이 모여 경쟁을 하는 진풍경이 펼쳐졌습니다.

이달부터 미래에셋증권과 한국투자증권, 삼성증권, 유안타증권이 래미안 원베일리 스퀘어에 둥지를 틀고 영업을 시작한 데 이어 KB증권도 내년 개점을 목표로 준비에 한창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