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양주 대모산성서 궁예가 세운 '태봉' 연호 적힌 나뭇조각 확인

양주 대모산성서 궁예가 세운 '태봉' 연호 적힌 나뭇조각 확인
▲ 양주 대모산성 동쪽 성벽 구간과 성내 상단부 모습

경기 양주 대모산성에서 궁예(?∼918)가 세운 나라인 '태봉'의 연호가 적힌 목간(木簡·글을 적은 나뭇조각)이 출토됐습니다.

국내에 남아 있는 목간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태봉과 관련된 유물이 처음 확인된 데다 각 면에 쓰인 글자도 120여 자에 달해 연구 가치가 크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오늘(15일) 학계에 따르면 양주시와 기호문화재연구원은 최근 양주 대모산성 동쪽 성벽 구간 일대를 조사한 결과, 물을 모으기 위해 만든 집수(集水) 시설에서 목간 1점을 발견했습니다.

원형으로 된 집수 시설에서 나온 목간은 길이가 약 30cm인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현장 관계자들의 설명을 종합하면 이 목간은 나무를 8각으로 다듬어 만든 것으로 추정되며, 8면 가운데 총 6면에 한 줄씩 글이 적혀 있습니다.

남은 2면 중 1면은 비어 있었고, 다른 1면에는 얼굴을 그린 듯한 형체와 글씨가 있습니다.

발굴 조사를 담당한 양주시 관계자는 "그동안 (국내에서 발견돼) 알려진 목간은 납작한 형태가 대부분인데, 이처럼 다각면 형태의 목간은 그 수가 많지 않다"고 설명했습니다.

국내에서 8각으로 된 목간에 글이 적힌 사례는 처음이라는 의견도 있었다고 합니다.

발굴 조사단은 목간 형태뿐 아니라 그 안에 적힌 내용에 특히 주목하고 있습니다.

글자가 남아있는 한 면을 해독한 결과, '정개 3년 병자 4월 9일'(政開三年丙子四月九日)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는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목간에 언급된 '정개'는 태봉국에서 914년부터 918년까지 약 5년간 쓴 연호를 뜻합니다.

즉 정개 3년은 916년을 의미하며, 육십간지를 계산하면 병자년에 해당합니다.

국내에서 태봉과 관련한 목간이 확인된 것은 처음이라고 복수의 관계자들은 전했습니다.

날짜가 적힌 나무 면에는 '성'(城), '대정'(大井), '대룡'(大龍)이라는 글자도 확인됐는데 '성의 큰 우물에서 큰 용을 위한' 행위가 있었고 이를 기록했을 것이라는 추정이 나옵니다.

목간을 살펴본 한 관계자는 "전체 글자를 해독 중이기는 하나, 큰 용이라는 뜻의 '대룡'은 왕을 지칭한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조사단 측은 목간이 실용적 목적보다는 의례와 관련됐을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있습니다.

발견 당시 목간은 나무로 만든 배 모양의 조각과 함께 집수 시설에서 출토됐습니다.

목간과 거의 비슷한 크기의 배 모형은 의례용으로 쓰였거나 주술적 의미를 담고 있으리라 추정됩니다.

지난 2019년 경주 월성 유적에서 나온 목제로 된 배 모형의 경우 의례용으로 보인다는 게 다수 전문가의 견해입니다.

학계 안팎에서는 이번에 출토된 목간의 역사적 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양주시 관계자는 "8면에 쓰인 글자를 합치면 120여 자"라며 "연대가 확실하고 지금까지 나온 목간 가운데 가장 많은 내용을 담고 있어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양주시와 연구원은 오는 20∼21일 목간 연구 전문가들과 판독 회의를 열 예정입니다.

일각에서는 이번 조사를 계기로 대모산성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합니다.

국가지정문화재 사적인 대모산성은 임진강과 한강 유역을 연결하는 길목에 있는 유적으로, 단순히 방어 목적으로만 지어진 게 아니라 행정적으로도 중요한 역할을 했으리라 추정됩니다.

양주시는 문화재청의 지원을 받아 2018년부터 대모산성 일대를 조사 중입니다.

발굴 상황을 잘 아는 한 전문가는 "양주의 지정학적 위치, 출토된 목간의 특징 등을 고려하면 앞으로 대모산성 일대를 지속해서 꾸준히 발굴 조사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습니다.

(사진=양주시·기호문화재연구원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