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CEO급 인재도 한국선 "포기"…독일은 문턱 더 낮춘다 (풀영상)

<앵커>

한국은 외국인들에게 얼마나 일하고 싶은 나라인지 짚어보는 연속 기획, 오늘(14일)은 독일의 사례를 살펴보겠습니다. 독일은 2차대전 직후 경제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일찍이 외국인력을 받아들였습니다. 또 1980년대부터 이미 심각한 저출생을 겪으면서 생산 인구 부족을 경험했고 산업 구조도 제조업 중심으로 짜여 있는데 이런 점들은 우리 모습과 매우 닮아있습니다.

그래서 독일의 외국인 노동자 정책을 보면 우리의 미래를 엿볼 수 있는데 특히 고급 외국인 인력을 끌어들이기 위해 독일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정준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규로 씨는 6년 전 독일에 오면서 꿈꿨던 워라밸을 어느 정도 실천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 아이들과 충분한 시간을 보낼 수 있습니다.

독일어는 서툴렀지만 취업 후 2년 9개월이 지나자마자 영주권이 나왔습니다.

[박규로/독일 거주 엔지니어 : (A1 레벨은) 독일어를 모르는 사람이 한 달 정도, 쉽게 말해서 한 달 정도 하루에 꾸준히 공부했을 때 충분히 받을 수 있는 수준이거든요.]

대졸 이상의 해외 고급인력을 유치하기 위한 'EU 블루카드' 덕을 톡톡히 봤습니다.

2035년까지 베이비붐 세대 은퇴 등으로 700만 명의 숙련 인력이 필요한 독일은, 이 블루카드의 문턱을 낮춰 가장 적극적으로 고급 숙련인력을 끌어들이는 나라입니다.

반후테 씨는 다양한 취미 활동을 즐기는 한국 생활 5년차 IT 개발자입니다.

전문인력 비자로 시작했지만 5년의 체류기간, 8천만 원이 넘는 연소득 기준을 못 맞춰 아직 영주권은 신청도 못했습니다.

더 큰 난관은 485시간 수업을 듣고 단계별 시험까지 통과해야 하는 사회통합프로그램입니다.

[알렉산더 반후테/한국 거주 IT 개발자 : 일을 마치거나 주말에는 휴식을 취하고 싶어요. (평소엔) 일 때문에 시간이 없습니다.]

이 프로그램에 좌절한 CEO급의 최고급 인재도 많다고 합니다.

[장만익/행정사 : 연봉이 4억, 5억이 넘는 분이셨는데 사회통합프로그램 5단계가 반드시 필수이기 때문에 연봉이 높아도 결국은 그 문턱을 못 넘었습니다.]

독일은 숙련 인력의 유입을 가로막는 장벽을 계속 허물고 있습니다.

11월부터 블루카드를 받을 수 있는 직업군은 확대하고 소득 기준은 더 낮추기로 했습니다.

최근엔 일자리가 없어도 학위와 나이, 독일어 능력을 점수화해 1년간 독일에서 구직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카드'도 도입했습니다.

고급 인력 유치를 가속화하는 겁니다.

[율리아 코샤코바/독일 노동시장연구소(IAB) 파트장 : 오래 거주해야 노동자들도 안정감을 느끼고 그만큼 언어에도 투자하고 자격증과 기술에 더 투자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영상취재 : 김세경·조창현, 영상편집 : 이승진, 디자인 : 방명훈·최하늘)

독일서 근무하는 외국인

---

<앵커>

우리나라의 광부와 간호사들이 독일로 건너가 일하던 시절에 이들을 '손님' 노동자로 불렀던 독일은 이제 외국인들과 동등하게, 또 함께 사는 포용 정책으로까지 나아가고 있습니다. 

여기에는 학교나 시민단체 같은 민간 기구들의 역할이 컸는데 그 사례를 이어서 보겠습니다.

<기자>

독일 브란덴부르크주의 한 중등학교, 이제 막 프랑스어 수업이 시작돼서 저는 지금 교실을 빠져나오고 있습니다.

이곳 교사는 시리아 출신 난민입니다.

시리아에서 프랑스어를 가르치다 8년 전 유럽 난민 사태 당시 독일에 온 커코리안 씨의 현재는 한 대학에 전적으로 빚진 겁니다.

[빅토리아 커코리안/시리아 출신 교사 :  이민자 재교육 프로그램에서 제공되는 독일어 집중 코스와 교육 세미나, 학교 현장 연수에 참여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외국인으로서 교사로 일을 할 수 있는 기회를 줬고 그 일을 해낼 수 있도록 해줬습니다]

포츠담대학의 이민자 재교육 프로그램은 다른 대학들로 퍼져 극심한 교사 부족 현상을 완화하는 데 일조하고 있습니다.

[(방 몇 개짜리 집을 구하고 있습니까?) 2개짜리 집을 구하고 싶어요.] 

베를린의 이 시민단체는 취업 주선은 물론 외국인들이 언제든, 어떤 문제든 찾아와 상담하는 곳입니다.

[클라스 크라머/시민단체 '튀뢰프너' 매니저 : 우편물을 받는다거나 무엇인가 신청해야 한다거나 이런 서류 작업들을 (이민자들이) 못하니까 그런 것들을 여기서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섞여 산다는 건 어렵고, 갈등을 유발하기 쉽습니다.

그래서 이민 정책은 정치적 반대에 부딪혀 후퇴하거나 수정되기도 합니다.

지난 2010년 메르켈 총리가 "다문화 사회 접근법은 완전히 실패했다"고 자인하기도 했던 독일도 그랬습니다.

그때마다 정부 정책의 빈틈을 메운 건 학교와 시민단체 같은 민간 부문이었습니다.

[파하드 알루세인/시리아 출신 노동자 : 독일에 머물면서 가족도 만들고 여기서 계속 일하고 싶습니다.]

이미 인구 8천400만 명 중 4분의 1이 이민자인 독일은 더 개방되고, 더 통합된 사회를 모색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김세경, 영상편집 : 오영택·이승진, 디자인 : 서승현·최하늘)

▶ 서툰 독어로 3년 안돼 영주권…한국선 억대 연봉도 좌절
▶ '시민 된 손님' 4분의 1이 이민자…통합 사회로 가는 길

본 보도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 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