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홍콩, 빈대의 디즈니랜드"…공포 확산에 살충제 판매 172배 급증

"홍콩, 빈대의 디즈니랜드"…공포 확산에 살충제 판매 172배 급증
홍콩에서 해외발 빈대 출현에 대한 공포가 확산하면서 살충제 판매와 해충 방제 예약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홍콩 전문가들은 좁은 땅에 인구 밀도가 높고 고온다습한 홍콩이 빈대 서식에 최적의 환경이며, 원래 홍콩에는 빈대가 많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14일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홍콩 해충 방제 업체 '노베드버그-HK'의 프란시스코 파조스 대표는 "우리는 보통 한달에 약 400건의 방제 요청을 처리하는데 지난 사흘간 한 달 치 일을 처리했다"며 "현재 작업량이 믿을 수 없을 만큼 많다"고 말했습니다.

파조스 대표는 "홍콩은 빈대에게 디즈니랜드 같은 곳이다. 너무나 밀집돼 있어 빈대가 알을 슬 장소가 많고 사람을 통해 옮겨지기도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영국, 파리에 이어 한국에서 빈대가 대거 출현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홍콩에서는 최근 빈대 공포가 확산하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최근 소셜미디어에 홍콩 공항철도 좌석에 빈대가 있는 사진이 돌면서 공포를 부채질했습니다.

해당 사진의 진위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이후 홍콩 공항당국과 철도당국은 점검 결과 빈대가 발견되지 않았다며 점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홍콩 전자상거래 플랫폼 숍라인은 광군제 쇼핑 축제를 맞아 지난 11∼12일 해충 방제와 빈대 살충제 판매가 172배나 급증했다고 밝혔습니다.

한 판매상은 빈대 방지 여행용 키트의 인기로 하루 동안 200만 홍콩달러(약 3억 4천만 원)어치를 팔았습니다.

숍라인 측은 SCMP에 "이는 널리 퍼진 빈대 문제에 대한 홍콩 시민들의 상당한 수준의 우려와 빈대가 들끓는 것을 예방하려는 선제적인 움직임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홍콩 아이비해충방제의 헨리 청 컨설턴트는 "우리는 한 달에 보통 8∼10건의 방제 출장 요청을 받는데 이번 달에는 이미 20건이 넘어섰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이러한 작업 증가가 빈대가 늘어났기 때문이 아니라 빈대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기 때문이라며, 방제 요청은 주로 인구 밀도가 높은 구에서 들어온다고 밝혔습니다.

과거 홍콩 정부 해충방제자문단을 이끌었던 위안밍츠는 빈대 문제는 홍콩에서 수십 년간 이어진 것인데 최근 언론 보도와 소셜미디어 게시물로 빈대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졌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러면서 빈대를 지나치게 걱정할 필요가 없으며, 위생을 청결히 하고 빈대 발생 지역에서 들여온 물건에 대한 점검을 철저히 하면 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