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올해 100대 기업 임원 7,300명대…70년대생이 절반 넘어

올해 100대 기업 임원 7,300명대…70년대생이 절반 넘어
지난해 국내 대기업 경영 실적이 전년보다 악화한 상황에서도 올해 100대 기업 임원 수가 200명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는 지난해 상장사 매출액 기준 100대 기업의 올해 반기보고서를 토대로 조사한 결과, 사내이사(등기 임원)와 미등기 임원은 총 7천345명으로 집계됐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이는 지난해 파악된 100대 기업 임원 수(7천175명)보다 170명(2.4%) 늘어난 숫자입니다.

100대 기업 임원 수는 2010년 6천 명 수준이었다가 이후 매년 증가해 2014년(7천212명) 처음 7천 명대를 찍은 뒤 다시 6천 명 후반대로 감소했고, 지난해 다시 7천 명대로 진입했습니다.

내년도 임원 인사에서는 올해 전반적인 실적 부진을 반영해 임원 수 감소 경향이 나타나겠다고 유니코써치는 전망했습니다.

100대 기업 임원 중 최고경영자(CEO)급에 해당하는 등기 임원은 277명이며, 5년 단위 세대별로는 1960년대 초반 출생(1960∼1964년생)이 117명(42.2%)으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단일 출생연도로는 1964년생(59세)이 35명으로 최다를 기록했고, 이어 1965년생(27명), 1963년생(26명), 1961년생(25명), 1962년생(20명) 순이었습니다.

등기 임원과 미등기 임원을 모두 포함한 100대 기업 전체 임원 중 가장 임원이 많은 출생연도는 1970년생(759명, 10.3%)이었습니다.

작년 대비 올해 기준으로 임원이 가장 많이 뽑힌 출생연도는 1973년생(116명)이었고, 1971년생(78명), 1976년생(77명), 1974년생(75명), 1975년생(70명)도 70명 이상 임원 자리에 올랐습니다.

1970년대 초반과 1970년대 후반 출생자를 합산한 1970년대생 임원(3천878명)은 전체의 52.8%로 100대 기업 임원 비중의 절반을 처음으로 넘어섰습니다.

1980년 이후 출생한 임원은 지난해 105명에서 올해 131명으로 늘었습니다.

반면 1960년대 후반(1965∼1969년) 임원 비율은 2020년 46.2%에서 올해 36.1%로, 1960년대 초반생(1960∼1964년)은 같은 기간 22.5%에서 8.1%로 눈에 띄게 감소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