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60년간 몰라본 '코렐리' 묘비…두 살 아이는 왜 앙카라에 묻혔나

튀르키예 앙카라 공원묘지 한켠에 놓인 '코렐리' 묘비 (사진=주튀르키예한국대사관 제공, 연합뉴스)

"지금 방금 찾은 건데요"(I've just found).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이원익 주튀르키예 한국대사는 주튀르키예 폴란드 대사로부터 짤막한 메시지와 함께 앙카라 한복판 공원묘지에서 산책하다 우연히 찍게 됐다는 한 장의 사진을 전송받았습니다.

큼지막한 태극기와 십자가 두 개, 그리고 이름 위에 튀르키예어로 '코렐리'(한국인)이라는 문구가 적혀있었습니다.

그간 현지 한인사회에 알려지지 않았던 낡은 묘비였습니다.

고인이 묻혔을 때쯤 심어진 것으로 보이는 나무가 앞을 가리듯 큼지막하게 자라나는 바람에 묘비가 더 가려진 것처럼 보였습니다.

1963년 태어난 고인은 1965년 세상을 떠났다고 하니, 튀르키예 한인 이민사가 시작됐다는 1970년대보다도 앞선 시기입니다.

게다가 만 두 살 생일을 불과 열이틀 앞두고 세상을 뜬 것으로 새겨져 있어 가슴 아픈 사연을 짐작하게 했습니다.

대사관은 묘지관리소를 통해 매장 시기 등 간단한 자료를 추가로 파악했지만, 충분한 자료가 남아있지 않아 연고를 도통 파악하기 어려웠습니다.

영영 수수께끼로 남을 듯했지만, 우연찮게 이 대사를 찾아온 이들이 기억을 더듬어 한 조각씩 이야기를 전해주자 불과 일주일 사이에 퍼즐이 맞춰져 갔습니다.

관리사무소에 남은 코렐리 묘비 관련 기록 (사진=주튀르키예한국대사관 제공, 연합뉴스)

고인은 1964년 현지 한국대사관에 부임했던 국방무관(외교공관에서 주재관으로 근무하는 군 장교) 백 모 씨의 아들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백 씨는 갓 태어난 아이와 함께 이역만리 타국에 도착, 교민이라고는 하나도 없는 척박한 환경에서 외교관으로서 '고군분투'했습니다.

하지만 불과 1년 만에 불의의 사고로 아들을 잃게 됐고, 몇 년 뒤 임기를 마치게 된 백 씨는 아이를 이곳에 묻은 채 귀국할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정확한 속사정은 알 수 없지만, 당시만 해도 서울에서 튀르키예 앙카라로 가는 직항은 없었고 타이완과 싱가포르, 아랍에미리트(UAE) 등을 거쳐 3∼4번은 비행기를 갈아타야만 했습니다.

더욱이 이슬람 문화는 영혼의 안식처가 소멸한다며 화장을 허용하지 않으니, 시신이 든 관을 운반하기가 물리적으로도, 절차적으로도 여의찮았을 것입니다.

한국전쟁 직후인 1957년 수교한 튀르키예는 대한민국의 10번째 수교국으로, 고인의 묘소는 험난했던 초반 대한민국 외교사를 나타내는 하나의 증거인 셈입니다.

주튀르키예한국대사관은 사실상 튀르키예 최초의 한국인 묘지로 추정되는 이 무덤에 매년 꽃을 들고 찾아가 고인을 추모하기로 했습니다.

이 대사는 12일 "알아보니 고인의 부친도 작년 작고했다고 한다"며 "이제 두 분이 두 살과 젊은 아빠의 모습으로 하늘나라에서 반갑게 만나셨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