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붙이는 주사' 시장 2030년 1조 6천억…치료제 개발 속도

'붙이는 주사' 시장 2030년 1조 6천억…치료제 개발 속도
마이크로니들 기술의 전 세계 시장 규모가 2030년에는 1조6천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국내 기업들도 이를 활용한 치료제 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오늘(12일) 식품의약품안전처가 발간한 '식의약 R&D 이슈 보고서' 최근호에 따르면 약물 전달 시스템으로서 마이크로니들 기술에 대한 전 세계 시장 규모는 2018년 5억7천900만 달러(약 7천646억 원)에서 연평균 6.3%씩 성장해 2030년에는 12억390만 달러(약 1조6천억 원)에 달할 전망입니다.

세계 마이크로니들 시장 규모 (사진=식약처 제공, 연합뉴스)

마이크로니들은 머리카락 지름 3분의 1 수준의 미세한 바늘로, 이를 피부에 부착해 약물을 주입할 수 있어 '붙이는 주사'로도 불립니다.

초기에는 일반적인 바늘이 사용됐지만 최근엔 체내에서 녹도록 만들어진 생분해성 바늘도 활용되고 있습니다.

식약처는 이 보고서에서 "마이크로니들은 통증 없는 치료법으로 기존 의약품의 불편을 개선할 강력한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다"며 "만성질환자 증가, 팬데믹 유행, 인구 고령화 등 사회적 현상이 뚜렷해짐에 따라 마이크로니들에 대한 각국의 수요는 더욱 높아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세계경제포럼(WEF)은 2020년 미래 사회를 변화시킬 수 있는 10대 유망 기술 중 하나로 마이크로니들을 선정하기도 했습니다.

이에 따라 국내 제약사들도 마이크로니들을 활용한 제품 개발에 나서고 있습니다.

한국신약개발연구조합은 마이크로니들 관련 산·학·연·관 연구개발 공조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지난 8월 '마이크로니들 융합연구회'를 출범시키기도 했습니다.

마이크로니들 관련 정부의 R&D 투자비도 2017년부터 올해 10월까지 약 1천218억 원으로, 2017년부터 2022년까지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식약처도 마이크로니들 제품화를 지원하기 위한 가이드라인을 배포하는 등 힘을 보태고 있습니다.

(사진=식약처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