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0%대로 밀린 5G 가입자 증가율…LTE 가입자 증가율 밑돌아

0%대로 밀린 5G 가입자 증가율…LTE 가입자 증가율 밑돌아
5세대 이동통신, 5G 가입자 수가 거의 제자리걸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신 시장이 거의 포화 상태에 이른 상태에서 서비스의 질과 가격을 고려할 때 아직 4세대 이동통신, LTE를 이용하는 가입자들이 굳이 5G로 갈아탈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란 해석이 나옵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무선통신서비스 가입현황 통계를 분석한 결과 지난 9월 말 현재 5G 가입자 수는 3천179만 5천52명으로 8월 말보다 0.9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월별 5G 가입자 증가율이 1%를 밑돈 것은 2019년 4월 5G 상용화 이후 처음입니다.

3월 이후 뚜렷한 둔화세를 보이던 5G 가입자 증가세는 8월까지는 그나마 1%대 초중반을 유지했으나, 9월에는 통신 3사 모두 1% 미만으로 내려앉았습니다.

SK텔레콤이 1천514만6천243명으로 8월 말 대비 0.91%, KT가 951만4천50명으로 0.85%, LG유플러스가 681만9천310명으로 0.94% 각각 늘었습니다.

심지어 알뜰폰 5G 가입자 수도 8월 말보다 2.23% 늘어나는 데 그쳐 8월 증가율(9.96%)의 4분의 1에도 미치지 못했습니다.

그 결과 9월에는 5G 가입자 증가율이 LTE 가입자 증가율을 밑도는 기현상도 발생했습니다.

9월 LTE 가입자 수는 4천859만29명으로 8월 말보다 2.90% 증가했습니다.

5G망에서 구현할 수 있는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확장 현실(XR)이나 메타버스 등의 신기술이 아직 이용자들에게 없어서는 안 될 서비스나 콘텐츠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대보다 느린 속도와 비싼 요금 역시 5G의 매력을 떨어뜨린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3사와 협의해 내년 1분기 3만 원대 5G 요금제를 신설하고, 연내에 5G 단말기의 LTE 요금제 교차 가입을 허용하는 이용약관 개정을 유도하기로 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