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빈대 '대체 살충제' 8종 긴급 사용 승인…가정에선 쓰면 안 돼

빈대 '대체 살충제' 8종 긴급 사용 승인…가정에선 쓰면 안 돼
기존 살충제에 저항성을 갖게 된 빈대를 방제할 수 있도록 대체 살충제 8종의 사용이 승인됐습니다.

8종 모두 방역용 제품이기 때문에 가정에서 함부로 활용하면 안 됩니다.

환경부 국립환경과학원은 오늘(10일) 빈대 방제를 위해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디노테퓨란으로 만든 살충제 8개 제품을 긴급 사용 승인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는 빈대가 기존에 사용하던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저항성을 형성했다는 점을 고려한 조처입니다.

앞서 질병관리청은 과학원에 추가 살충제 긴급 사용 승인을 요청한 바 있습니다.

긴급 사용 승인 기간은 1년입니다.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는 국내에서 모기·파리·바퀴벌레를 방제하기 위한 용도로 이미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사용 승인된 제품은 모두 전문 방역업자가 사용하는 방제용이며 가정용이 아닙니다.

과학원은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를 가정에서도 쓸 수 있도록 안전성 검증 등 후속 승인 절차에 즉시 착수했다"라며 "저항성이 덜한 다른 살충제도 추가 발굴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쪽방촌 빈대 방제 작업

일각에서는 대체 살충제가 승인됐다고 해서 빈대 문제가 완전히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는 지적이 나옵니다.

미국과 동남아시아 등 네오니코티노이드계 살충제를 이전부터 사용해온 지역에서 빈대가 저항성을 형성했다는 보고가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

국내 빈대 개체군이 아직 네오니코티노이드계에 적응하지 못한 상태라고 하더라도 빈대는 알에서 깨어나 성충이 되기까지 한 달밖에 안 걸리기 때문에 저항성을 빠르게 형성할 수 있습니다.

거기에다 안전성 심사를 통과했다고 하더라도, 벌레를 잡는 데 쓰는 살생물질은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살충제를 살포하는 화학적 방제보다는 고열 증기로 소독하는 물리적 방제를 우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습니다.

금한승 과학원장도 "화학적 방제는 필연적으로 저항성 문제를 일으켜 인체와 환경에 영향을 줄 수 있다"라며 "증기·고온 처리·진공 청소기 흡입 등 물리적 방제를 우선하고 (살충제를) 꼭 필요한 곳에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한다"라고 강조했습니다.

제품 목록은 질병청 '빈대정보집'(www.kdca.go.kr)과 과학원 누리집(www.nier.go.kr)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빈대는 전 세계에 90여 종 있으며, 이 중 3종은 사람 피를 빨아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토착종인 일반빈대와 외래종인 열대빈대를 볼 수 있습니다.

감염병을 옮기지는 않지만, 가려움증과 2차 피부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