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10월 채권금리 큰 폭 상승…회사채 발행 줄고 스프레드 확대

10월 채권금리 큰 폭 상승…회사채 발행 줄고 스프레드 확대
지난달 국내 채권 금리는 미국의 양호한 고용·경제지표 등 영향으로 고금리 장기화 전망이 대두되며 큰 폭으로 상승했습니다.

금융투자협회가 오늘(10일) 발표한 장외 채권시장 동향에 따르면 10월 말 3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4.085%로 전월 대비 20.1bp(1bp=0.01%포인트) 상승했습니다.

국고채 10년물은 4.325%로, 같은 기간 29.5bp 급등했습니다.

협회는 "월초 추석 연휴 동안 미 채권시장의 금리 상승세 영향으로 급등세로 출발한 이후, 이스라엘-하마스 간 전쟁 발발에 따른 안전자산 선호로 크게 하락했다"며 "이후 예상을 상회한 미국의 9월 소비자물가지수(CPI)와 양호한 9월 소매판매 지표의 영향으로 금리는 다시 상승 전환했다"고 설명했습니다.

10월 채권 발행규모는 국채, 통안증권, 금융채, 회사채 등의 발행이 감소하면서 전월 대비 7조 3천600억 원 감소한 68조 1천억 원으로 집계됐습니다.

발행잔액은 국채, 특수채, 금융채, 자산유동화증권(ABS) 등의 순발행이 4조 8천억 원 증가하면서 2천719조 9천억 원을 기록했습니다.

회사채 발행은 금리 상승 영향으로 전월 대비 3조 4천억 원 감소한 4조 7천억 원을 기록했고, 국고채와 회사채 간 금리차를 뜻하는 크레디트 스프레드는 전월 77bp에서 82bp로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월간 만기별 국내 금리 변동(단위 : bp)

지난달 장외 채권거래량은 채권금리 상승 영향 등으로 전월 대비 39조 5천억 원 감소한 304조 9천억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채권시장의 새로운 '큰손'으로 떠오른 개인은 국채, 기타금융채(여전채), 회사채 등에 대한 투자 수요를 보이며 3조 원어치를 순매수했습니다.

이는 전월 대비 약 4천억 원 늘어난 수준입니다.

외국인은 국채 3조 5천억 원, 통안증권 7천억 원 등 총 5조 1천억 원을 순매수했습니다.

외국인의 순매수 규모는 전월(8조 2천840억 원)보다 약 3조 원이 줄었습니다.

만기 상황 분이 반영된 외국인의 국내 채권 보유 잔고는 전월 말 대비 8천억 원 감소한 241조 6천억 원이었습니다.

지난달 회사채 수요예측은 총 35건, 2조 3천550억 원 규모로 지난해 동기 대비 7천490억 원 증가했습니다.

수요예측 전체 참여 금액은 9조 1천14억 원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7조 5천784억 원 늘었습니다.

참여율(수요 예측 금액 대비 참여 금액)은 386.5%로 291.7%포인트 증가했습니다.

수요예측 미매각은 A등급에서 1건 발생했습니다.

미매각률(전체 발행금액 대비 미매각금액)은 0.5%였습니다.

지난달 말 기준 양도성예금증서(CD) 수익률은 머니마켓펀드(MMF) 자금 수요 감소와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기준금리 동결 지속 등으로 전월 대비 1bp 하락한 3.82%를 기록했습니다.

지난달 적격기관투자자, QIB 채권 신규 등록은 7건, 2조 2천507원 규모였습니다.

2012년 7월 관련 제도가 도입된 이후 지난달까지 총 381개 종목, 151조 7천억 원 규모의 QIB 채권이 등록됐습니다.

현재 QIB 등록 채권은 대부분 국내기업의 해외발행 채권(KP물)이며 국내 판매를 위한 전매 제한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사진=연합뉴스TV 제공, 금융투자협회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