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D리포트] 1조 5천억 들인 재선충 방제…"효과 없어 헛돈"

부산 기장군 아홉산 일대입니다.

소나무 군락 군데군데가 누렇게 변하거나 붉은빛을 띱니다.

소나무 재선충이 번지기 시작한 겁니다.

그런데 곳곳에 재선충 방제의 흔적이 보입니다.

지난해 이렇게 방제 작업을 한 곳인데도 주변으로 잎들이 다 떨어지면서 재선충이 번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현장 작업자들은 보여주기식 방제에 불과하다 설명합니다.

[아홉산 방제작업 관계자 : 100헥타르에 걸쳐 방제했지만 다시 퍼지는 겁니다. 효과가…나무가 다 죽어야 끝이 안 나겠습니까. 벌레가 번지니깐 사람으로는 그것을 못 막죠.]

현장 작업자들부터 방제 무용론을 제기합니다.

재선충 방제작업자 5백 명을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86%가 실효성에 의문을 제기했고 이 가운데 47%는 재선충이 되레 는다고 토로했습니다.

[윤미향 / 국회의원(무소속) :소나무 재선충 방제가 감염을 막기는커녕 오히 려 확산하고 있다 그런 결과가 드러났고요. 또 기존 방제작업이 한계에 다다른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근본적으로 산림청은 소나무 재선충 방제 정책에 대한 재검토를 해야 된다.]

재선충 방제 사업 35년 동안 산림청과 지자체 예산 1조 5천억 원을 들였지만 피해 나무는 계속 늘고 있습니다.

[윤상갑 / 산림 기술사 : 실질적으로 재선충을 잡는 방법은 거의 없습니다. 조금의 시간을 벌어서 늦출 수 있는, 사람으로 치면 진통제 맞고 얼마 동안 안 아프게 하는 그 정도라는 거죠.]

나무 속에 숨어 있는 재선충을 근원적으로 잡을 수 있는 약이 없다는 말인데, 산림청도 한계를 인정합니다.

[산림청 관계자 : 사실 전 세계적으로 어딜 가더라도 그런 방법 이외에 방제 방법은 없어요. 기본에 충실할 수밖에 없습니다.]

소나무가 다 죽어야 방제도 끝나는 상황, 재선충 고사목을 그대로 두기로 한 일본의 산림 환경은 우리보다 더 건강해 헛돈만 썼다는 지적입니다.

(취재 : KNN 최한솔 / 영상취재 : KNN 전재현 / 영상편집 : 전민규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