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ICBM 발사일' 기념과 김주애의 행보, 무슨 관계가?

[안정식의 N코리아 정식] 통일 장관, "김주애 후계 가능성 배제할 수 없다"

북한이 지난 5일, 11월 18일을 '미사일 공업절'로 제정했다고 밝혔습니다. 지난해 11월 18일 ICBM급 미사일인 화성-17형 발사에 처음 성공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서입니다. 북한은 지난해 3월에도 화성-17형을 발사했다고 주장한 바 있지만, 우리 군 당국은 북한이 실제로는 화성-15형을 발사해 놓고 화성-17형을 발사한 것처럼 속였다고 밝힌 적이 있습니다.

북한은 11월 18일이 "국방발전의 성스러운 여정에서 특기할 대사변이 이룩된 역사의 날"이라고 밝혔습니다. 괴물 ICBM이라고 불리는 화성-17형의 발사 성공에 큰 의의를 부여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북한은 지난해 11월 18일 ICBM급 미사일인 화성-17형을 발사했다.

11월 29일, '로케트 공업절'로 표기했던 북한

하지만, 지난해 화성-17형 미사일을 처음 성공하기 전까지 북한이 주목했던 11월의 날짜는 따로 있었습니다. 바로 11월 29일입니다. 북한은 2017년 11월 29일 ICBM급 미사일인 화성-15형 발사에 처음 성공했는데, 당시 '국가 핵무력 완성의 역사적 대업이 실현되었다'며 큰 의의를 부여했습니다.

북한은 이후 2021년 달력에 11월 29일을 '로케트 공업절'로 표기하기도 했습니다. 핵무력 완성을 선언했던 11월 29일을 기념하겠다는 의미로 해석됐는데 정작 '로케트 공업절'에 특별한 행사는 없었고, 2022년 달력에서는 '로케트 공업절'이라는 표기 자체가 사라졌습니다. 북한이 화성-15형을 능가하는 화성-17형의 시험발사에 나서면서, 화성-15형 발사에 성공한 11월 29일에 큰 의미를 둘 것은 아니라고 판단한 것으로 보입니다.

'미사일 공업절'은 김주애 등장 1주년

북한이 이번에 '미사일 공업절'을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상무회의'를 통해 제정하고 대외적으로 공표한 것은 '화성-17형' 발사 성공을 전국가적 기념일로 앞으로도 계속 기리겠다는 뜻으로 해석됩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 가지 더 주목해 볼 점이 있습니다. '미사일 공업절'로 지정된 11월 18일은 화성-17형 발사에 처음 성공한 날일 뿐만 아니라 김정은 총비서의 딸 주애가 대중 앞에 처음 등장한 날이기도 하다는 점입니다.

지난해 11월 18일 ICBM 발사현장에 처음 등장한 김주애
김주애는 지난해 11월 18일 화성-17형 발사현장에 처음으로 김정은과 함께 나타났습니다. 첫인상은 흰색 겨울옷을 입은 어린아이 같은 모습이었습니다. 하지만, 곧 성인 여성처럼 단장을 하고 김정은의 현지지도에 자주 따라다니면서 보폭을 넓히더니, 지난 9.9절 북한정권 창립 기념 열병식에서는 김일성광장에서 많은 대중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김정은과 나란히 앉아 열병식을 관람하는 수준까지 나아갔습니다.

9.9절 열병식에서 김정은과 나란히 앉아 열병식을 관람하는 김주애
지난 1년 동안 김주애의 위상이 이렇게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올라선 것을 돌이켜본다면, 이번 '미사일 공업절' 제정이 반드시 화성-17형만을 기념하기 위한 것은 아닐 수 있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김영호 통일부 장관도 지난 6일 기자단을 만난 자리에서 '미사일 공업절' 제정이 "김주애의 첫 등장에 의미를 부여하려는 의도도 있다고 봐야 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