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D리포트] 수도권 집중 OECD 1위…한국은행 "지방 거점도시 키워야"

한국은행은 전국 각지 청년들이 수도권으로만 몰리는 현실이 우리나라 저출산과 성장잠재력 훼손의 중요한 원인이라는 분석을 내놨습니다.

한은 조사국 지역경제조사팀의 '지역 간 인구이동과 지역경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기준으로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 이상인 50.6%가 국토에서 11.8%를 차지하는 수도권에 모여 살고 있습니다.

한국의 수도권 비중은 2020년 기준 OECD 26개 나라 가운데 가장 큽니다.

수도권 집중 현상은 특히 15~34세 청년층의 유입이 가장 큰 요인이었습니다.

2015년 이후 2021년까지 수도권에서 순유입 등으로 늘어난 인구의 78.5%가 청년층이었습니다.

반대로 같은 기간 호남·대구 경북·동남권 인구 감소의 각 87.8%, 77.2%, 75.3%가 청년 유출로 설명됐습니다.

월평균 실질임금 격차는 2015년과 2021년의 수도권·비수도권 상황을 비교해 볼때 34만 원에서 53만 원으로 벌어졌습니다.

한국은행은 청년층의 수도권 집중이 저출산 문제를 심화했다고도 했습니다.

비수도권 청년층 유출로 줄어든 출생아 수와 수도권 청년 유입결과 늘어난 출생아 숫자를 비교했을 때 '출산 손실'이 발생했다는 게 한은의 계산입니다.

한국은행은 '선택과 집중'을 통해 비(非)수도권 몇 개 거점도시에 산업과 인프라를 몰아주는 전략이 가장 효과적인 대안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이 전략이 김포시 서울 편입 등 여당의 '메가시티 서울 구상과 반대 방향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메가서울 개념과는 별개로 진행된 연구로, 반대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말하기 애매하다"고 답했습니다.

(취재 : 손승욱 / 영상편집 : 김준희 / 제작 : 디지털뉴스편집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