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동명이인 잘못 기소해 엉뚱한 사람 벌금…대법 "공소 기각"

동명이인 잘못 기소해 엉뚱한 사람 벌금…대법 "공소 기각"
경찰 단계부터 사건 기록이 잘못 입력돼 검사도 오류를 발견하지 못한 채 엉뚱한 사람을 기소해 전과가 남을 뻔했던 40대가 대법원에서 구제받았습니다.

대법원 1부(주심 오경미 대법관)는 A 씨의 폭행 혐의를 유죄로 인정해 벌금 70만 원의 약식명령을 선고한 원심 판결을 깨고 이달 12일 검찰의 공소를 기각했습니다.

A 씨는 작년 4월 경기 평택시의 한 공원에서 행인을 폭행했다는 혐의로 같은 해 10월 약식명령으로 벌금 70만 원에 처해졌습니다.

A 씨가 불복 절차를 밟지 않아 판결이 그대로 확정됐습니다.

그런데 이 범행은 사실 A 씨가 아닌 다른 사람이 저지른 것이었습니다.

검사가 기소하는 과정에서 A 씨의 주민등록번호와 등록기준지(본적)를 기재해 무고한 사람이 처벌받은 것입니다.

그에 앞서 경찰이 사건을 송치할 때부터 주민등록번호가 잘못 입력돼 있었습니다.

검찰은 벌금 집행 과정에서 뒤늦게 오류를 발견했고, 이원석 검찰총장은 올해 4월 대법원에 비상상고를 제기했습니다.

비상상고는 형사소송법상 특별소송 절차로, 검찰총장은 판결이 확정된 뒤 그 사건 심판에서 법령 위반을 발견한 때에는 대법원에 비상상고를 할 수 있습니다.

대법원은 "표시상 착오로 공소장에 기재된 피고인에 대해서는 이 사건 공소 제기의 효력이 미친다고 할 수 없다"며 "법원으로서는 공소 기각의 판결을 해야 하는데도 이러한 조치 없이 약식명령이 그대로 발령·확정됐다면 이는 심판이 법령에 위반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다만 과거 검찰 약식기소와 법원의 약식명령에 아무런 대응을 하지 않았던 A 씨는 이번 비상상고 관련 서류도 '폐문부재(문이 잠겨있고 사람이 없음)', '수취인 불명' 등으로 송달받지 않았습니다.

대검찰청은 이와 관련해 "경찰이 사건 발생보고서에 주민등록번호를 잘못 입력해 송치했고 검찰을 거쳐 법원에서 약식명령을 발령할 때까지 오류를 발견하지 못하다가 검찰이 벌과금 집행 과정에서 오류를 확인한 사안"이라고 밝혔습니다.

이어 "신속히 실제 폭행 가해자와 피해자를 대질 조사해 실제 가해자는 별도로 기소했고 잘못 특정된 피고인에 대해서는 검찰총장의 적극적인 비상상고를 통해 오류를 바로잡았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