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30대 여성 경제활동 왜 늘었나…"자녀 갖지 않는 여성 증가"

30대 여성 경제활동 왜 늘었나…"자녀 갖지 않는 여성 증가"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2010년대 이후 빠르게 높아진 배경에는 자녀를 갖지 않거나 자녀를 갖는 시기를 미루는 여성이 늘어난 게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왔습니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지연 연구위원은 오늘(30일) 이 같은 내용의 '30대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상승의 배경과 시사점' 연구를 발표했습니다.

여성의 생애주기별 경제활동참가율은 일반적으로 'M자 곡선' 형태입니다.

노동시장에 진입하면서 상승했다가 출산·육아로 하락하고, 재진입한 뒤 상승하다 은퇴로 다시 하락하는 과정입니다.

30대는 M자 곡선의 첫 번째 하락 구간으로, 은퇴 시기인 60살 이상을 제외하고 경제활동참가율이 가장 낮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M자 곡선의 중앙부 저점에서의 경제활동참가율이 2012년 52.6%에서 2017년 58.3%, 지난해 61.2%로 증가했습니다.

저점 도달 연령은 2012년 34살, 2017년 36살, 지난해 38살이었습니다.

30대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이 높아지는 원인은 크게 두 가지였습니다.

자녀가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이 확대되거나, 자녀가 있는 여성의 비중 자체가 감소하는 것입니다.

김 연구위원은 두 가지 요인의 기여도를 추산하기 위해 1983∼1987년생 여성이 30∼34세였던 시기인 2017년과 1988∼1992년생이 같은 나이대에 도달한 2022년을 비교했습니다.

그 결과 경제활동참가율은 66.2%에서 75.0%로 5년 만에 8.8%포인트(p)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요인별로는 '자녀 있는 여성의 비중 감소'가 5.3%p를 차지해 기여도가 컸습니다.

'자녀 있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도 3.9%p 높였습니다.

30대 초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요인별 기여도 (사진=KDI 연구 발췌, 연합뉴스)

30대 후반(35∼39살) 연령대도 동일한 분석을 해보니 경제활동참가율은 62.1%에서 64.6%로 2.5%p 높아졌습니다.

자녀 있는 여성의 비중 감소와 경제활동 확대의 기여도가 각각 2.6%p, 3.9%p였으나, 코로나19 당시 보육·교육시설의 운영 중단 등 기타 요인이 4.0%p를 깎았습니다.

김 연구위원은 "3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가 저출산 현상의 심화와 함께 진행됨에 따라 장기적으로는 경제 성장세 둔화, 연금 재정 및 정부 재정 악화 등 심대한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일·가정 양립에 대한 지원을 지속해 출산 육아기 여성의 경제활동참가율과 출산율이 함께 상승할 수 있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했습니다.

그 방안으로는 "육아기 근로 시간 단축제도, 유연근무제 등의 제도와 함께 가족 친화적인 근로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사진=KDI 연구 발췌,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