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젊은 층 급증' 2050년 전세계 인구 4명 중 1명은 아프리카인

'젊은 층 급증' 2050년 전세계 인구 4명 중 1명은 아프리카인
향후 선진국에서는 출산율이 떨어지면서 인구가 줄어들 전망이지만 아프리카에서는 인구가 늘어 2050년에는 전 세계 인구 4명 중 한 명이 아프리카인이 된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28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는 향후 25년간 아프리카의 인구가 2배로 늘어 25억 명에 달할 것이며 이는 세계와의 관계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보도했습니다.

1950년 당시 아프리카의 인구는 전 세계의 8%에 불과했습니다.

그러나 유엔 전망에 따르면 이보다 100년 뒤인 2050년에는 전 세계 인류의 4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특히 청년 인구가 크게 늘어날 전망으로 25년 뒤에는 전 세계 15~24세 청년층 중에서 아프리카인이 최소 3분의 1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도 아프리카 대륙의 중위연령은 19세에 불과합니다.

반면 전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인도의 중위연령은 28세이며 미국과 중국은 각각 38세입니다.

NYT는 많은 청년 인구로 인한 지각변동으로 엄청난 영향이 있겠지만 아직은 불확실하며 그 영향이 아프리카 대륙에 걸쳐 다양하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앞으로 10년 안에 아프리카의 15~65세의 생산 인구는 10억 명에 달해, 인도와 중국을 제치고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노동력을 보유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아프리카가 이미 겪고 있는 문제인 만성적 실업 문제가 크게 대두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넥스트 아프리카'의 저자 오브리 흐루비는 아프리카의 실업 문제가 전 세계의 문제라며 "기후 변화 다음으로 아프리카의 일자리 위기는 우리 시대의 본질적인 문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1970~1980년대 한국, 중국, 일본은 이 문제를 산업화로 해결했지만, 아프리카는 산업화를 하기에는 열악한 상황에 놓여있다고 NYT는 짚었습니다.

몇몇 국가를 제외하고는 아프리카 국가 대부분은 산업화에 실패했고, 현재 전세계 제조업에서 아프리카가 차지하는 비중은 1980년대보다도 작습니다.

10억 명 중 6억 명이 전기 부족에 시달릴 정도로 열악한 인프라도 걸림돌로 작용합니다.

장하준 런던대 경제학 교수는 가난하던 1960년대 한국을 언급하며 한국이 경제 대국 중 하나가 된 것은 성공이 예상 밖의 국가에서도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시간과 노력이 있으면 놀라운 변화가 가능하다"며 한국의 성공에는 젊은 인구가 큰 역할을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