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중국 포털 실시간 검색어에서 사라진 '리커창 사망' 해시태그

중국 포털 실시간 검색어에서 사라진 '리커창 사망' 해시태그
바이두(왼쪽)와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에서 사라진 '리커창 사망' 해시태그 (사진=바이두와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 캡처, 연합뉴스)
▲ 바이두(왼쪽)와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에서 사라진 '리커창 사망' 해시태그

중국의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 사망 사흘째를 맞은 리커창 전 총리 관련 해시태그가 돌연 사라지면서 '보이지 않는 손'이 개입했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29일 오전 중국의 대표 포털 사이트인 바이두의 실시간 검색어 상위 50위에 리 전 총리 관련 해시태그가 자취를 감췄습니다.

전날까지만 해도 중국 당국이 발표한 리 전 총리 부고는 바이두 실시간 검색어에서 꾸준히 1∼2위에 올랐었습니다.

29일엔 대신 '시진핑은 왜 현대화 대규모 농업을 관철하는가'라는 해시태그가 맨 위에 노출됐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왕이 중국 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외교부장을 접견한 뉴스가 1위를 차지했습니다.

또 9살짜리가 길 잃은 네 살배기를 경찰에 데려가 부모를 찾아주게 했다는 등의 뉴스들이 검색어 50위 이내에 올랐습니다.

웨이보(微博·중국판 트위터) 실시간 검색어 상위 50위에서도 리 전 총리 관련 해시태그를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웨이보에서는 전날 '리커창 동지 영정'과 '리커창 동지 부고'가 각각 검색어 순위 1위와 2위를 기록했고, '리커창 동지가 세상을 떠났다'라는 해시태그(#)는 22억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한 바 있습니다.

리 전 총리가 유년기를 보냈던 안후이성 허페이시와 추저우시 일대엔 28일까지 그를 추모하는 중국인들의 행렬이 이어졌고, 고인이 살았던 집 앞에 국화를 놓으며 그를 추모하고 눈물을 흘리는 영상들도 소셜미디어(SNS)에 잇달아 게시됐습니다.

그러나 관영 매체들은 리 전 총리 사망 관련 단신성 뉴스만 내보내며 민심의 흐름과는 다른 보도 행태를 보였습니다.

지난 27일 오전 리 전 총리의 사망 소식을 가장 먼저 전한 중국중앙TV(CCTV)의 저녁 메인 뉴스 프로그램인 신원롄보(新聞聯播)는 당일 뉴스 시작 14분 만에 리 전 총리 사망과 관련한 당국의 부고만 짤막하게 보도했습니다.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 관영 통신 신화사 등 주요 관영 매체들도 줄곧 CCTV를 인용, 리 전 총리의 부고 소식만 간단하게 처리했을 뿐 그의 생전 활동이나 업적 등을 소개하는 별도 기사는 다루지 않았습니다.

대만 중앙통신사는 "허페이의 리 전 총리 생가에 헌화하려는 조문 행렬이 이어지고 있으며, 허페이의 조화가 동이 나 외지에서 배송할 정도로 추모 열기가 높지만, 현지 언론들은 이런 내용을 일절 보도하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어 "당국의 통제를 받지 않는 엑스(X·옛 트위터)에는 중국의 여러 대학이 리 전 총리를 추모하는 학생들의 집회를 금지한다는 글들이 올라왔다"고 전했습니다.

외교가에서는 중국 경제가 침체한 상황에서 정부 개혁을 추진하고 노점 경제 활성화를 통해 민생을 챙기는 등 친서민적인 행보에 나섰던 리 전 총리에 대한 추모 분위기 확산이 정권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판단한 당국이 언론 통제에 나섰을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고 있습니다.

(사진=바이두와 웨이보 실시간 검색어 캡처,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