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스프] 대마는 마약이 아니다? 수많은 오해를 정리해 드립니다

[스프칼럼] 대마, 그 ‘유혹’과 ‘위험’ 사이에서 (글 : 노대영 교수)

스프칼럼(노대영)
나는 한 달에 두 번씩 교도소 환자를 진료한다. 진료 환자의 약 70%가 마약사범이다. 대마, 필로폰, 펜타닐, 공업용 본드 등 종류도 다양하다. 내원하는 환자도 점점 많아져서 요즘은 시간 내 진료하기도 벅차다. 이야기를 들어보면, soft drug(대마)에서 hard drug(필로폰, 펜타닐)로 옮겨가는 경우가 많다. 아주 작은 호기심과, 우연한 권유를 잘 넘겼다면 삶이 달라졌을 거라며 뒤늦은 한탄을 한다. 마약은 예방이 최선이다. 이미 hard drug의 맛을 본 사람들은 되돌아 나오기가 어렵다. 댐이 터지기 전에, 둑부터 막는 게 순서다. 이미 둑 여기저기 물 새는 조짐이 보이지만, 아직은 기회가 있다. 

대마는 현재 알코올과 담배 다음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향정신성 물질이다. 대마 사용을 비범죄화하는 국가는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국내에서도 2019년부터 의료용 대마 처방이 가능해졌다. 대마 사용 합법화에 대한 논쟁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다만 극단적인 사례만을 단편적으로 논의해서는 결론을 내릴 수 없다. 대마만큼 오해와 낭설이 많은 약물도 없다. 정확한 정보를 기반으로 스스로 판단해 볼 기회가 필요하다. 최신 지견을 바탕으로 대마에 대한 흔한 오해를 정리해 보았다. 

자아(EGO)는 쾌락과 현실 사이에서 조율하는 기능을 하나, 중독은 이 기능이 망가진 상태이다. / 그림 by 노대영

대마는 마약이 아니다?

2020년 12월, UN 마약위원회(Commission on Narcotic Drugs, CND)가 대마를 마약목록에서 재분류하였다. 이를 근거로 온라인상에서 대마가 마약의 오명을 벗었다는 식의 언급이 많다. 하지만 의료용 대마의 가능성을 인정하여 치료 목적의 유용도가 낮은 스케줄 IV에서만 제외하였을 뿐이다. 여전히 스케줄 I(위험도가 가장 높은 마약)에는 계속 포함되어 있으며, 이 항목에는 LSD, 헤로인 등이 있다. 즉, 대마가 통제물질 중 가장 위험한 마약 중 하나라는 기존의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는 뜻이다.

 

대마 합법화는 전 세계적인 추세이므로 수용해야 한다?

스프칼럼 노대영
대마의 고유한 성분을 카나비노이드라고 하며, 대표적으로 THC(테트라하이드로칸나비놀)와 CBD(카나비디올)가 있다. 이 두 성분의 비율에 따라 대마는 독특한 정신활성 효과를 나타낸다. 이 중에 THC는 강한 환각효과와 중독성을 지닌다. 대마가 안전하다는 대중적인 인식은 THC 함량이 3~4%에 불과했던 1970년대 이전의 대마 사용 경험에서 출발한다.

현재 개량된 품종의 THC 함량은 25% 이상이며, 농축된 대마추출물에서는 80%를 넘는 것도 있다. 게다가, 대마에는 100가지 이상의 카나비노이드가 섞여 있는 데다가 대부분의 작용기전은 여전히 잘 모른다. 최근 미국심장협회에서는 SNS 상에서 대마의 이점만 주로 강조하여 대중이 안전하다고 오해할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대마는 심혈관 질환 및 뇌졸중을 일으키거나,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이 생길 수 있음을 우려했다.

남미나 미국의 일부 지역에서 기호용 대마 사용을 합법화한 이유는 대마가 안전하기 때문이 아니었다. 이미 감당할 수 없을 만큼 대마 사용이 만연한 상태에서 부작용에 특히 취약한 청소년 집단을 보호하기 위함이 목적이었다.

지자체에서 거두는 관련 세금 수익이 막대하기 때문에 이제는 되돌리기 어려운 상태가 되어 버렸다. 최근에 대마에 대한 인식에 있어서 조금씩 변화의 흐름이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대마의 합법화 여부는 유행 따라 결정할 성질의 사안은 아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더 깊고 인사이트 넘치는 이야기는 스브스프리미엄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이 콘텐츠의 남은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하단 버튼 클릭! | 스브스프리미엄 바로가기 버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