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국내상장 외국기업 경영진, 차명계좌 이용해 시세조종 적발

국내상장 외국기업 경영진, 차명계좌 이용해 시세조종 적발
국내 상장된 외국기업의 경영진이 차명계좌를 이용해 자사 주가를 시세조종 한 혐의가 적발됐습니다.

금융위원회 증권선물위원회는 오늘(23일) 제18차 정례회의에서 국내 상장된 외국기업 A사의 대표이사(외국인), 한국 연락사무소장 등 회사 관련자를 자사 주가 시세조종 혐의 등으로 검찰에 통보했습니다.

A사는 본국 내 사업 자회사를 통해 사업을 영위하고 있지만, 한국 주식시장 상장을 위해 케이만군도에 설립된 역외 지주회사(SPC)입니다.

이들은 2017년부터 2018년까지 A사 주가가 지속해서 하락하는 상황에서 유상증자 결정을 발표했으나 이후에도 주가가 하락하자 유상증자를 원활히 성공시킬 목적으로 시세조종에 나섰습니다.

한국 연락사무소장은 A사 경영진 지시를 받고 본인 및 가족, 지인 명의의 증권계좌를 여러 개 개설한 뒤 주가조작 세력에게 전달해 시세조종에 활용했습니다.

대부분의 시세조종 주문은 주가조작 세력이 해외에서 제출했으나, 일부는 A사 경영진이 직접 제출하기도 했습니다.

이들이 시세조종에 나선 5개월간 A사 주가는 26.8% 상승했습니다.

이들은 목표했던 모집 금액에 맞춰 신주 발행가액을 유지하기 위해 발행가액 산정 기간 3만4천여회의 주문을 제출했고, 이에 따라 목표했던 모집 금액을 초과 달성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 가운데 A사 한국 연락사무소장은 2019년 유상증자 정보를 이용해 보유주식을 미리 처분해 3억5천만원 상당의 손실을 회피한 혐의도 받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은 투자자들에게 유상증자 발표 이후 주가가 급등락하는 경우에 대해 유의해야 한다고 당부했습니다.

또 외국기업의 상환능력 정보를 확인한 후 투자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금융당국은 "국내 상장된 외국기업의 경영진이 유상증자 과정에서 자사 주가를 인위적으로 부양시킨 사례가 확인된 만큼, 금융당국은 자금조달 과정 등 국내 자본시장에서 외국기업 및 관련자가 가담한 불공정거래에 대해 더욱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발 시 엄중히 조치하겠다"고 설명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