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지역 필수 전공의'에 별도 월급 지원 제시…현장 반응은

<앵커>

정부는 지역 필수 의료 분야에 지원을 늘리겠다고 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로 의사들한테 월급을 더 주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걸로 저희 취재 결과 확인됐는데, 현장의 반응은 차갑습니다.

그 이유와 함께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할지 조동찬 의학전문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지난해 인구 1천 명당 활동 의사 수는 서울은 3.5명이지만, 경북은 1.4명에 불과합니다.

이런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정부는 지역 필수 분야 전공의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는데, 이미 현장에서는 별도의 월급을 더 지원해주는 방안이 지역 병원들에 제시된 것으로 S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하지만 현장의 반응은 차갑습니다.

[이연주/양산부산대병원 소아청소년과 교수 : 아직 지원을 표현한 전공의는 없는 상태입니다. 지금 당장 돈 한두 푼하고 연관이 있는 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단순 급여를 올려주는 조치만으로는 지역에 의사를 묶어둘 수 없다는 이야기입니다.

정부는 또, 수도권 대형 병원의 필수 의료 과목 전공의 정원을 줄이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의사들이 수도권에 집중되는 것을 채용 인원을 제한해 막아보자는 취지입니다.

하지만 의료 현장에서는 수도권 대형 병원에 입성하지 못한 의사들이 지역으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아예 외과, 소아과 과목을 선택하지 않을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차라리 필수 의료 지원자는 지방과 수도권 병원에서 서로 교류하며 수련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현실적인 대안이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의사를 지역으로 내려가게 하는 것뿐 아니라 지역 환자의 수도권 쏠림을 막는 대책도 정부가 내놨습니다.

비수도권에 살면서 이른바 서울 '빅5' 대형 병원에 진료받은 환자는 지난해 70만여 명, 진료비는 2조 원에 달하는 현실을 바꿔보자는 취지입니다.

그래서 개인 의원에서 큰 병원으로 옮길 때 같은 지역이면 수가를 올리고, 다른 지역이면 수가를 삭감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중립자, 양성자 등 최신 암 치료 시설은 모두 수도권에 있어 지방 환자가 역차별을 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의대 정원 규모가 구체적으로 언급되지 않은 이번 정부 대책에 대해, 대한의사협회는 필수 의료 수가 인상, 근무 조건 개선 대책 등이 제시된 점은 고무적이라고 긍정적인 평가를 내놨습니다.

(영상취재 : 박진호, 영상편집 : 위원양, CG : 김정은·강경림)

▶ 구멍 뚫린 지역 의료…'국립대병원' 총괄 권한 부여 추진
▶ 의대 증원 원칙 확인…"의료인 · 전문가와 소통은 충분히"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