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WP "러시아 선박, 8월부터 북-러 왕래하며 탄약 수송 정황"

WP "러시아 선박, 8월부터 북-러 왕래하며 탄약 수송 정황"
▲ 미 정부가 공개한 북러 무기 거래 사진

북러 정상회담이 열리기 한 달 전인 지난 8월 중순부터 양국이 배 2척을 동원해 북한산 탄약을 러시아로 은밀히 전달한 정황이 포착됐다고 워싱턴포스트(WP)가 현지시간으로 16일 보도했습니다.

WP는 영국 싱크탱크 왕립합동군사연구소(RUSI)가 위성사진을 분석한 자료를 인용해 러시아 국적 선박 앙가라호와 마리아호가 8월 중순부터 이달 14일까지 최소 5차례 북한 북동부 나진항과 러시아 극동의 두나이를 왕래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소개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컨테이너 수백 개가 북한에서 러시아로 배송됐으며, 그 내용물은 확인되지 않았지만 러시아가 우크라이나전쟁에 사용할 탄약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신문은 진단했습니다.

그 근거와 관련, WP는 수송이 시작된 시기를 즈음해 우크라이나 국경에서 약 290km 떨어진 러시아 서남부 티호레츠크 소재 탄약 창고의 저장용 구덩이가 빠르게 늘어났고, 그 구덩이들은 최근 탄약 상자로 채워졌다고 전했습니다.

특히 탄약 저장 구덩이 옆에 있는 컨테이너들의 색깔과 크기는 북한 나진에서 러시아 두나이로 이송된 컨테이너들과 일치했다고 WP는 보도했습니다.

앙가라호와 마리아호는 나진-두나이 항로로 물자를 실어 나르기 직전, 선박자동식별장치(AIS)를 꺼 추적을 피했다고 WP는 소개했습니다.

WP의 이번 보도는 백악관의 지난 13일 발표 내용을 포함하되, 북러간 무기 수송이 8월부터 시작돼 백악관 발표 다음날까지도 이어졌으며, 복수의 선박이 동원된 정황을 추가로 전한 것입니다.

존 커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전략소통조정관은 지난 13일 브리핑에서 북한이 1천 개가 넘는 컨테이너 분량의 군사 장비와 탄약을 러시아에 제공했다고 공개했습니다.

커비 조정관은 동시에 9월 7∼8일 나진항 부두에 컨테이너가 쌓인 모습, 같은 달 12일 러시아 선박 앙가라호가 동부 두나이에 정박한 모습, 10월 1일 컨테이너를 실은 열차가 러시아 티호레츠크의 탄약고에 도착한 모습 등을 담은 위성사진을 공개했습니다.

WP가 북한발 대러 물자 제공이 시작된 시점으로 지목한 8월 중순은 세르게이 쇼이구 러시아 국방장관이 방북(7월 25∼27일)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만난 지 약 20일 후이자 김 위원장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정상회담(9월 13일)을 하기 약 1개월 전입니다.

(사진=미국 정부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