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비위생 환경에 '해썹' 인증…"문제 알고도 3점 만점에 2점"

<앵커>

뉴스 보도로 논란이 된 비위생 환경 단무지 제조 문제가 국정감사에서도 지적됐습니다. 국감에서는 정부의 부실한 식품안전인증 '해썹'에 대한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박명원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한눈에 봐도 비위생적인 환경에 노출된 충청지역의 식품 제조업체.

지난 4월 정부로부터 식품 안전을 보증하는 '해썹' 재인증을 받은 업체입니다.

버려야 할 폐수 옆에서 무를 비위생적으로 절여왔지만, 식품의약품안전처 산하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은 재인증을 내줬습니다.

국회 등에 따르면 인증원은 지난 4월 현장 점검에서, 절임실 안의 무와 오이에 외부 이물질 혼입과 교차오염의 우려를 지적하면서도, 정작 평가에서는 낙제점이 아닌 3점 만점에 2점을 부여했습니다.

하지만, 보도 이후 식약처는 해썹을 취소했습니다.

논란이 되자 취소한 건데, 해썹 제도 신뢰성에 의문이 제기되는 이유입니다.

[김원이/더불어민주당 의원 : 다른 물질이 혼입돼 있고 교차오염 우려 있고 그리고 작업장 내에 세척 소독이 필요할 정도로 더럽다(는 내용을) 이거를 현장 인증원(직원이)본 거예요. 근데 86점을 줘서 재인증을 연장해 준 거예요.]

국회 국정감사에서는 업체와의 유착 의혹은 물론 제도 개선을 위한 전면적인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김원이/더불어민주당 의원 : 현장에 나가서 이런 인증업체를 실질적으로 봐주고 있는 거 아니냐,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직접적으로 최전선에서 지키는 부서가 식약처인데, 이따위로 하면 어떤 국민이 식약처를 믿어 주겠냐.]

이에 대해 식약처는 해썹 시스템의 개편 필요성을 인정하면서, 전국 140여 곳의 단무지 제조 업체를 대상으로 전수 지도와 제품 검사를 실시하고, 해썹 인증업체 불시 평가에 나서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절임 식품 제조 가이드라인을 제작해 전국 업체에 배포하겠다고도 약속했습니다.

[오유경/식약처장 : 현재의 (해썹)재인증 시스템은 일단 (점검 여부를) 알리고 간다는 데 문제가 있고요. 특별점검은 식약처에서 합니다. 그래서 불시점검을 재인증 업체라고 할지라도 더 자주 확대하면서 불시점검에 대한 시스템을 더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식약처와 인증원이 뒤늦게 공식 사과와 재발 방지 대책을 내왔지만, 더 일찍 막을 수 있었다는 비판에서는 자유롭지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

(영상취재 : 박종현 G1·원종찬 G1·이정석 G1)

G1 박명원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