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막뉴스] 수도권-지방 대학 졸업생들 '결혼 확률' 이렇게 달랐다

성장지역과 대학을 나온 지역을 수도권과 비수도권, 이 연구에서 쓴 용어대로 나누자고 하면 서울·인천·경기의 수도권과 지방으로 나눴을 때의 조사입니다.

먼저 결론부터 말씀드리면요, 지방에서 성장해서 지방에서 대학을 마쳤을 경우에 수도권에서 성장해서 수도권에서 대학을 마친 것보다 결혼할 가능성이 18%나 더 높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21년에 감사원이 인구밀도가 높은 수도권의 청년층이 결혼과 출산에 대해서 더 회의적인 시각을 갖고 있더란 조사를 낸 적이 있는데요.

실제로 혼인율 차이가 그 비슷하게 벌어지는 게 보였다는 겁니다.

보건사회연구 이번 가을호에 고려대 연구진이 발표한 결과입니다.

지난 2007년부터 추적 가능했던 청년들 중에서 지금 만으로 33살이 넘는 사람들 4천200명을 분석했고요.

남녀는 반반, 그리고 30대와 40대 이상이 7대 3 정도의 비율입니다.

성장기는 14살에 살고 있던 지역, 그리고 대학은 졸업을 어디서 했냐로 봤는데요.

대체로 수도권에서 자랐으면 수도권 대학, 지방에서 자랐으면 지방 대학에 간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이 두 가지 경우만 일단 비교했을 때도 이렇게 차이가 나더라는 겁니다.

특히 여성은요, 지방에서 성장해서 대학을 나왔을 때 결혼할 확률이 수도권 여성보다 30% 높게 더 높았습니다.

<앵커>

수치가 차이가 꽤 납니다. 왜 이런 차이가 나타난 건가요?

<기자>

연구진은 역시 수도권의 생존 경쟁이 더 빡빡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인구밀도가 높고, 좋은 대학과 직장이 한정된 수도권에 살고 있으면 결혼이나 출산보다는 '일단 살고 보자' 생존을 우선시하게 된다고 분석한 겁니다.

표본 수 차이가 좀 들쭉날쭉하긴 하지만요, 조사된 네 가지 경우를 모두 보면요.

일단 지방에서 자라서 지방 대학을 나온 경우에 가장 기혼자인 비율이 높았습니다. 61.4%.

그 다음은 지방에서 자라서 수도권 대학을 간 경우입니다.

59.8%가 결혼해 있었습니다. 표본이 적긴 하지만 혼인율만 놓고 보면 1위와 차이가 별로 안 납니다.

수도권에서 자라서 지방으로 대학을 간 경우와 수도권에서 자라서 수도권 대학을 나온 경우의 혼인율이 그보다 더 낮았습니다.

"수도권의 경쟁적인 특성이 성장기부터 모든 영역에 영향을 미칠" 거라는 게 역시 연구진의 분석입니다.

그리고 특히 여성에 있어서 어디서 자라서 어디서 대학을 나왔는지가 영향을 훨씬 더 크게 미치는 건 여전히 여성의 경우에는 일과 결혼이 충돌한단 인식이 강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통계청의 인식 조사에서도 나왔던 대로 여성들은 일과 가정 양립에 대한 부담을 결혼 기피의 가장 큰 이유로 꼽는데요, 경쟁이 심한 수도권일수록 이런 경향이 더욱 강할 거란 얘기죠.

또 중소도시에서 성장한 여성의 경우에 전통적인 가족주의 성향이 더 강할 거란 기존 연구에서의 유추도 거론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