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자전거 운전자가 낸 사망 사고 30% 증가…가장 많은 사고 원인

자전거 운전자가 낸 사망 사고 30% 증가…가장 많은 사고 원인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지난해 자전거 운전자가 낸 사고로 발생한 사망자가 전년 대비 30%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5일 행정안전부가 제공한 '자전거 이용 현황'(2022년 기준)에 따르면 지난해 자전거 가해자 사고로 사망한 사람은 91명입니다.

이는 70명이던 2021년과 비교해 30% 증가한 수치입니다.

전체 교통사고 사망자 수 대비 비율도 2021년 2.4%에서 지난해 3.3%로 높아졌습니다.

이는 지난해 코로나19 관련 방역 수준이 완화하면서 야외활동이 늘어 자전거를 타는 이들이 많아졌기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자전거 가해자 사고 건수는 5천393건으로 전체 교통사고에서 2.7%를 차지했습니다.

사고 유형은 자전거와 자전거가 부딪친 것이 3천811건으로 70.7%였습니다.

자전거가 단독으로 시설물 등을 들이받거나 도로에서 이탈해 사고가 난 경우는 4.5%(245건)이었으나 사망자 비율은 44%(40명)나 됐습니다.

사고 원인 중에서는 '안전운전 의무 불이행'이 3천570건(66.2%)으로 1위였습니다.

연령별로는 65세 이상이 1천377건(25.5%)의 사고를 내고 54명(50.3%)이 사망해 가장 많았습니다.

월별로는 날씨가 좋은 5월과 9월 순으로 자전거 사고가 잦았습니다.

자전거 운전자가 가해자일 경우와 피해자일 경우를 합산(중복 제외)하면 사고는 총 1만 2천564건, 사망자 수는 190명이었습니다.

전체 교통사고에서의 점유율은 사고 건수는 6.4%, 사망자 수는 6.9%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