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이·팔 전쟁 엿새째 지속…양측 사상자 1만 명 넘었다

이·팔 전쟁 엿새째 지속…양측 사상자 1만 명 넘었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으로 시작된 전쟁이 엿새째 지속되는 가운데 양측 사상자가 폭증하고 있습니다.

이스라엘이 가자 육상 진입과 보복 의지를 재차 천명하는 가운데, 리비아와 시리아에도 공습에 나선 것으로 전해지면서 제5차 중동전 발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이스라엘군(IDF)은 현지시간 12일, 하마스에 대한 반격에 나선 지난 7일 이후 지금까지 총 4천 톤(t)정도의 폭발물을 담은 폭탄 6천발 정도를 가자지구에 투하했다고 밝혔습니다.

또 가자지구에서는 5천 발이 넘는 로켓포가 발사됐다고 주장했습니다.

이날 기준 이스라엘 측 사망자는 1천300여 명, 부상자는 3천200여 명으로 집계됐습니다.

반면에 팔레스타인 보건부는 현지시각 12일 오후 2시 현재 가자지구에서만 어린이 447명과 248명의 여성을 포함해 1천417명이 숨졌다고 발표했습니다.

서안지구에서 발생한 사망자 31명을 더하면 사망자는 1천448명으로 늘어납니다.

팔레스타인 측 전체 부상자는 6천868명으로 파악됐습니다.

양측의 희생자를 합하면 사망자는 2천7백명을 넘어선 가운데, 사상자는 1만 명을 넘긴 셈입니다.

이스라엘은 강도 높은 표현으로 가자지구 지상 공격을 포함한 보복 의지를 되새기고 있습니다.

야권 일부와 전시 연정 구성에 합의한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날 하마스를 향해 "모두 죽은 목숨"이라고 강조했습니다.

가자지구 향하는 이스라엘군 탱크 (사진=AP, 연합뉴스)

이스라엘군 대변인 리처드 헥트 중령은 아직 정치권의 결정이 내려지지 않았다면서도 하마스를 겨냥한 가자지구 지상 작전을 준비 중이라고 공개 언급했습니다.

가자지구에 대한 전면 봉쇄도 계속되면서 전날 이 지역의 유일한 발전소 가동이 중단됐으며, 음식과 식수도 조만간 바닥날 것으로 전망되면서 인도주의적 위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이스라엘은 시리아 수도 다마스쿠스와 북부 도시 알레포의 국제공항을 공습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지난 10일 이스라엘이 시리아에서 자국 영토로 다수의 박격포가 발사됐다고 밝히고서 이틀이 지난 시점입니다.

이스라엘군은 과거 시리아를 지원하는 이란 혁명수비대를 견제하기 위해 종종 시리아를 공습하곤 했지만 이번 공격은 하마스와의 전쟁 와중이라 중동 전체로 전쟁이 확대될 수 있다는 우려를 키우고 있습니다.

서방은 이스라엘의 입장을 두둔하면서도 갈등 봉합을 위한 방안을 궁리하고 나섰습니다.

이스라엘에 급파된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은 네타냐후 총리를 면담한 뒤 "하마스의 테러 공격에 대응한 이스라엘의 방어 권리를 미국은 확고하게 지지한다"고 밝혔습니다.

블링컨 장관은 다만 민주주의 국가와 테러리스트 간 차이를 강조하면서 "민간인에 해를 끼치지 않도록 가능한 모든 예방 조치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습니다.

하마스의 공격에 따른 민간 인명피해를 비판하는 동시에 가자지구 지상군 투입을 검토 중인 이스라엘을 향한 메시지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있습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도 전날 네타냐후 총리와 통화하며 "전쟁법"을 따를 것을 당부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됩니다.

주변국들은 이번 사태에 기름을 부은 하마스의 인질 억류 문제와 관련해서도 중재에 나서는 등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하마스와 가까운 것으로 알려진 튀르키예 정부는 하마스가 붙잡고 있는 이스라엘인 등 인질 석방을 위한 협상에 나섰다고 로이터 통신은 보도했습니다.

하마스는 인질이 100여 명이라고 밝힌 바 있으며, 이스라엘 측은 군인 50명을 포함해 최소 150명이 억류 중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사우디아라비아의 실권자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와 에브라힘 라이시 이란 대통령도 이날 전화 통화를 하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사태를 논의했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